與 108명 중 62명이 ‘릴레이 시위’
내부서는 탄핵 ‘인용’ 전망도 일부
장고하는 헌재…선고일은 미지수
![김기현, 추경호, 나경원 의원을 비롯한 국민의힘 의원들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열린 감사원장 및 검사 탄핵심판 선고 관련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13/news-p.v1.20250313.579b57fd52b84db1943abc5eca2ea8fd_P1.jpg)
국민의힘 의원들이 단체로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각하를 요구하는 등 여론전을 이어가고 있다. 여당 의원 과반이 거리 투쟁에까지 나서면서 윤 대통령 측에 힘을 실어주는 가운데 당초 이번 주로 예상됐던 헌재의 선고 일정은 불투명해진 분위기다.
당의 중진인 김기현·나경원 의원과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 여당 의원 30여명은 13일 헌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내란 혐의 수사가 불법이라는 사실이 확인됐으므로 헌재는 대통령에 대한 사기 탄핵을 신속히 각하하라”고 말했다.
여권에 따르면 당 소속 의원 108명 중 절반이 넘는 62명이 헌재 앞에서 릴레이 시위도 이어갈 예정이다. 전날에도 국민의힘 의원 82명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을 각하해야 한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헌재에 제출했다. 대통령의 석방 이후 압박 수위를 연일 높이는 모습이다.
지도부는 이같은 당의 동향에 대해 별도 지침이 있었던 것은 아니나, 각 의원의 개별 의사를 존중한다는 입장이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회견 중 관련 질문을 받은 뒤 “의원들이 알아서 판단하시는 걸로 생각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헌재의 선고를 앞두고 여당이 부쩍 윤 대통령 엄호에 열중하는 건 최근 국민의힘 지지율이 반등하는 동향과 무관치 않다는 게 정치권의 시각이다. 또 표면적으로는 선을 긋고 있지만, 한동훈 전 대표의 사퇴 후 꾸려진 ‘친윤(親윤석열)’ 지도부의 입김도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다.
실제로 권 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는 지난 9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를 찾아 윤 대통령을 예방한 바 있다.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으로 윤 대통령이 석방된 이튿날 당의 ‘투톱’이 동시에 관저를 찾은 것을 두고 여러 정치적 해석이 따라붙는 분위기다.
![추경호(왼쪽부터), 김기현,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 촉구 릴레이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3/13/news-p.v1.20250313.8701b825b8aa4186973b0dd6c0615be6_P1.jpg)
당초 정치권과 법조계에서는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론이 지난달 25일 종결된 만큼 이달 중순, 특히 이달 11일과 14일이 선고일로 유력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이 돌발 변수가 되면서 헌재가 장고를 거듭하는 것으로 보인다.
헌재는 변론종결 이튿날부터 이날까지 휴일을 제외하고 거의 매일 평의를 열어 윤 대통령 사건을 검토 중이다. 과거 탄핵심판의 경우 변론 종결부터 선고까지 걸린 시간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1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이 11일이었다. 윤 대통령은 이미 ‘최장 평의’ 사례다.
탄핵 소추일부터 심판까지 걸린 기간도 최장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노 전 대통령은 소추 이후 63일 만에, 박 전 대통령은 91일 만에 선고가 이뤄졌다. 윤 대통령의 경우 선고가 오는 14일이라면 90일 만이지만, 다음 주가 되면 박 전 대통령 선고에 걸린 기간을 넘어선다.
그만큼 헌재가 윤 대통령 사건을 숙고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선고 시점이 불투명하다. 중요 선고 기일은 당사자의 절차 보장, 또 언론사 형평성을 고려해 당사자에게 기일 통지 및 수신 확인이 이뤄진 뒤 언론에 공지가 된다는 게 헌재의 설명이다.
한편 국민의힘 의원 대다수가 윤 대통령 측에 힘을 실어주는 것과 별개로 개별적으로는 탄핵 인용을 전망하는 이들도 적지 않은 분위기다. 최근 매경닷컴과 만난 현역 의원 등 복수의 여권 관계자는 탄핵 인용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