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사망보험금 미리 연금으로 수령”…얼마나 받고 주의할 점은

최종일 기자
입력 : 
2025-10-07 07:02:10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달부터 시행된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로 종신보험 가입자는 사망보험금의 최대 90%를 살아생전 연금처럼 받을 수 있게 됐다.

하지만, 기대 수명이 짧거나 고액 납부자는 오히려 사망보험금을 일시금으로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유동화 시 이자소득세가 부과될 수 있어 사전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격 요건을 갖춘 50~60대는 현금 흐름 부족 시 유동화를 고려해볼 수 있지만, 상황에 맞는 상담이 권장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최대 90%까지 연금 활용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달부터 사망보험금을 살아생전 연금으로 쓸 수 있게 됐다. 다만 기대 수명이 짧다면 오히려 사망보험금을 지금처럼 한 번에 받는 게 유리하며 고액 납부자는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는 만큼 가입 내역을 사전에 따져봐야 한다.

이달부터 시행된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보험료 납부가 끝난 종신보험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망보험금의 최대 90%를 연금처럼 미리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사후소득인 사망보험금을 살아생전에 연금이나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게됐다. 나머지 10%는 사망 시 보험금으로 지급된다.

다만 9억원 미만의 종신보험만 해당되고 10년 이상 납입을 마쳤어야 한다. 또 보험계약 대출 잔액이 없어야 하며 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동일한 상태에서 55세 이후부터 신청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최소 2년 이상은 연금을 나눠받을 수 있어야 한다. 현재는 1년에 한번 받는 연 지급형과 매월 받는 월 지급형 형태로 추진될 예정이지만 제도 초기엔 연 지급형부터 시작된다.

이에 자격요건을 갖춘 50~60대 중 현금 흐름이 당장 부족하다면 사망보험금 유동화를 고려해 볼만 하다. 하지만 기대수명이 짧다거나 조기 사망 땐 유동화하지 않고 기존 사망보험금을 그대로 받는 게 금전적인 면에서 더 유리하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액은 해약환급금 기준…원금보다↓

이는 유동화 금액 기준은 가입자가 계약을 한 당시의 사망보험금이 아닌 신청 시점 때 해약환급금이 기준이 돼서다. 즉 해약환급금은 보험을 해약한다는 가정하에 지급되는 돈인 만큼 정상적으로 받는 보험금보다 훨씬 적어서다.

더욱이 사망보험금을 유동화하면 저축성보험으로 바뀌는 만큼 이자소득세를 내야 할 수 있으니 사전에 자신의 보험금 납부 내역 등을 확인해야 한다. 종신보험은 보장성보험이지만 유동화 땐 저축성보험이 되는 만큼 비과세인 보장성보험과 달리 과세가 매겨질 수 있어서다.

이 밖에도 유동화와 함께 살아생전 사망보험금을 증여할 대상자와 지금 방법 등을 지정하는 보험금청구권 신탁 등이 있다.

업계 관계자는 “종신보험의 가입자 중 고령자가 많은 만큼 정책이 어렵다면 설계사나 보험 관계자와 미리 상의하는 게 필요하다”며 “종신보험금을 활용하는 정책이 다양해진 만큼 상담을 통해 개인에게 맞는 선택지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