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이진숙 방통위원장 “‘카톡 검열 없다’ 선언시 국민 신뢰할 것”…최민희 의원과 설전

김민주 기자
입력 : 
2025-02-14 21:26:5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서로 날선 공방을 벌였다.

이 위원장은 카카오톡 검열 논란에 대해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민주당이 분명히 반대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고, 최 의원은 극우와 극좌에 대한 비유를 남발하지 말아야 한다고 반발했다.

이날 두 정치인은 언론 보도와 공적 발언에 대한 심각한 시각차를 드러내며 격렬한 논의를 이어갔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질의에 답변하는 이진숙 방통위원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질의에 답변하는 이진숙 방통위원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맡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설전을 벌였다.

14일 이 위원장은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민주당의 ‘카카오톡 검열’ 논란과 관련해 “카카오톡은 네이버 라인이나 다른 소통 수단과 마찬가지로 거의 전 국민이 소통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며 “만약에 민주당에서 그런 생각이 없다면, 확실하게 ‘카카오톡 검열이라는 것은 없다’고 선언하면 국민이 조금 더 신뢰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이는 ‘카카오톡으로 내란 선동 관련 가짜뉴스를 퍼트리면 고발하겠다는 더불어민주당식 언론 검열에 대한 의견을 달라’는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이다.

방송통신위원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방송통신위원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날 이 위원장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20·30세대가 늘고 있는 것을 아는가’라는 국민의힘 최수진 의원의 질문에 “보도를 보고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광화문 집회 현장에 나가는 20·30 세대를 극우라고 한다면 우리 국민의 상당수를 극우 세력으로 몰아가는 시도이고 굉장한 위험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그렇다면 ‘비이재명계들이 움직인다’라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 ‘움직이면 지지자들을 다 모아서 죽여버리겠다’고 한 민주당 최민희 의원이 극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 의원이 지난해 11월 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1심 선고 후 언론 인터뷰에서 한 발언을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최 의원은 신상발언을 신청해 “국무위원이 특정 의원의 질의 과정에서 특정 의원을 콕 집어서 비난하고 시빗거리로 삼는 걸 처음 봤다”며 반발했다.

최 의원은 “극우, 극좌를 함부로 쓰지 마시라”라며 “극우 파시즘, 나치즘 때문에 8000만 내지 9000만명이 죽었다. 스탈린 체제, 중국 문화대혁명, 그게 극좌다. 어디 제 이름 뒤에다가 극좌를 붙이는가”라고 항의했다.

야당 의석에서는 “거짓말 하는 (국무)위원은 혼쭐을 내야 한다”며 고성도 나왔다.

양측은 앞서 최 의원의 질의 순서에서도 기싸움을 벌였다.

최 의원은 이 위원장이 지난달 23일 방통위 기자실에서 ‘12·3 내란이라는 표현은 잘못됐다’는 취지로 발언한 경위에 대해 물었다.

이 위원장은 “내란이라는 게 아직 법적 절차를 거치고 있어서 ‘12·3 계엄’이라고 표현해야 정확하지 ‘12·3 내란’이라고 표현한 것은 정확하지 않다고 언론 선배로서 이야기했다”고 답했다.

이에 최 의원은 “보도지침을 내리고 갑질한 것”이라고 반박하며 “일부 보도 기능을 가진 방송사에 재허가권을 가진 것이 방통위인데 그게 어떻게 선배가 한 말로 들리는가”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일부에서 ‘보도 가이드라인’이라고 표현하는데, 21세기 대한민국에서 ‘보도 지침’이라는 그것은 얼토당토않고, 현명한 기자들이 가이드라인이라고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