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청년 백수’ 120만명 넘어…어렵게 취업했는데, 4명중 1명은 ‘이것’

류영상 기자
입력 : 
2025-03-16 16:17: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난달 '청년 백수' 수가 120만명에 육박하며, 청년층 중 실업자는 26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5000명 증가했다.

조사 기간 동안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청년이 93만6000명에 달하며, 청년 취업자의 4명 중 1명은 단기 근로자인 '긱워커'로 확인됐다.

경제 성장 둔화와 내수 부진 등의 이유로 청년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직장인 점심시간.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임. [사진 = 연합뉴스]
직장인 점심시간.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임. [사진 = 연합뉴스]

지난달 ‘청년 백수’가 12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어렵게 일자리를 구한 청년 가운데서도 4명 중 1명은 ‘단기근로자’였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중 실업자는 26만9000명이었다. 이는 1년 새 5000명(2.0%) 늘어난 것이다.

이 중 별다른 활동 없이 ‘그냥 쉬는’ 청년은 50만4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청년 비경제활동 인구 중 ‘취업준비자’ 또한 43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거나, 비경제활동 인구 중 ‘쉬었음’ 또는 ‘취업준비자’인 청년의 수를 모두 더하면 120만7000명이었다. 전년대비 1년 새 7만명 넘게 증가했다.

경제성장 둔화와 내수부진, 제조·건설업 불황, 기업들의 경력직·중고 신입 선호 현상 등이 복합적으로 겹치면서 일자리를 찾지 못한 ‘청년 백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어렵사리 일자리를 구한 청년들도 상황은 녹록지 않다.

청년층 중 조사 주간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인 사람은 93만6000명이었다.

청년층 취업자가 355만7000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취업자 4명 중 1명은 주 5일 출근하는 전일제 근로자가 아닌 ‘긱워커’로 불리는 단기 근로자인 셈이다.

워라밸 등을 이유로 단기 근로를 선호하는 현상이 반영된 것이라는 시각도 있으나 청년층이 구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사라진 영향이 크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일주일에 1~17시간 일한 ‘초단기 근로’ 청년들의 수도 44만5000명에 달했다. 전체 취업자 대비 비중은 12.5% 수준이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