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가 정치의 장으로 변질” 비판
![6일 오후 고려대학교 중앙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촉구 고려대학교 학생·동문·교수·직원 공동 시국선언이 열리고 있다. [뉴스1]](https://pimg.mk.co.kr/news/cms/202503/06/rcv.NEWS1.NEWS1.20250306.2025-03-06T131001_1007165898_SOCIETY_I_P1.jpg)
대학가에서 탄핵 찬반 시국선언이 개강 이후에도 연일 이어지면서 피로감을 호소하는 대학생들이 속출하고 있다.
6일 서울 일부 대학에서는 개강 이후 첫 탄핵 시국선언이 진행됐다. 이날 고려대와 숙명여대에서는 탄핵 찬성 시국선언이, 한성대와 총신대에서는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열렸다.
하지만 재학생들은 이들에게 싸늘한 시선을 보냈다. 연일 진행된 시국선언에 불신과 불편함을 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지난 4일 고려대 익명 커뮤니티에 탄핵 찬성 시국선언을 한다는 글이 게시되자 ‘이번에도 외부 단체를 부를 것이냐’, ‘외부인으로 구성원 숫자 뻥튀기를 하는 것이 아니냐’ 등의 반응이 이어졌다. 이에 관계자는 ‘외부 단체는 본 시국선언에 함께 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
이외에도 ‘곧 (탄핵 심판) 판결 나오니까 학교를 소란스럽게 만들지 말라’ 등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기도 했다. 대학생들이 주최하는 탄핵 관련 시국선언에 외부단체 등이 개입해 대학이 정치의 장으로 변모한 것에 대해 학생들이 피로감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고려대, 한국외대, 이화여대 등 다수의 대학에서 탄핵 찬반 집회가 동시에 열리면서 세력을 과시하기 위해 외부인이 동원된 정황이 포착되기도 했다. 맞불 집회로 소음 공해가 발생했고, 일부 학교에서는 서로 몸싸움을 벌이는 등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지난 5일 고려대 총학생회 중앙비상대책위원회에서는 탄핵 찬성과 반대 양측 모두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총학생회 측은 “집회에 참여한 인원 중 대다수가 외부에서 정치적 목적으로 참여했음에도 고려대의 명칭을 사용하여 마치 재학생 전체의 의사인 것처럼 포장한 행위가 매우 부적절했다”며 유감을 표했다.
한국외대 총학생회도 지난달 28일 집회가 종료된 이후 “집회의 종료 시점에는 양 진영 모두 대부분 외부 단체로 구성되어 있었고, 집회로 인한 피해는 오로지 동대문구 주민들과 외대 구성원에게 돌아갔다”며 “구성원의 집회·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면서도 외부인 등으로 인해 구성원의 안온한 일상이 침해받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학 본부와 대처 매뉴얼 등을 적극적으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고려대 재학생 김 모씨(20)는 “이미 계엄이 선포된 지 거진 3개월이 지났고, 탄핵 선고도 얼마 남지 않았는데 집회가 12월부터 연이어 진행돼 피로감을 느낀다”며 “(시국선언이) 과연 유의미한 행동인지, 집단의 힘을 과시하기 위한 것인지 모르겠다”고 불편을 토로했다. 중앙대학교에 재학 중인 이 모씨(26) 역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는 것까지는 문제가 아니지만, 학교와 무관한 세력이 들어와서 대학이 정치의 장으로 변질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탄핵과 관련한 시국선언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오는 8일에는 한양대에서 탄핵반대 시국선언이 개최될 예정이다. 인하대, 아주대, 제주대 등에서도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예고됐다. 한국외대에서는 2차 탄핵 찬성 시국선언이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