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빅4’로 압축되는 국힘 경선 후보들…변수는 한덕수 출마?

이상현 기자
입력 : 
2025-04-22 11:20:41
수정 : 
2025-04-22 16:54:1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결정짓기 위한 1차 경선이 22일 완료되며, 출사표를 던진 8명 중 절반이 컷오프된다.

1차 경선 결과는 오후 7시에 발표되며, 과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추가 투표가 진행된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 여부가 향후 유권자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 2025 대선 레이스 ◆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국민의힘 사무실 앞에 당 관계자가 대선 경선 후보자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국민의힘 사무실 앞에 당 관계자가 대선 경선 후보자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결정짓기 위한 1차 경선이 22일 마무리된다. 출사표를 던진 8명 중 절반이 이날 컷오프된다. 곧바로 2차 경선이 치러지지만,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출마 여부가 추후 유권자들의 표심을 흔들 변수가 될 수 있단 전망이 나온다.

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날 오후 7시께 1차 경선을 통과한 4명의 명단을 공개한다. 다만 후보별 득표율이나 순위는 공개하지 않기로 당 선관위는 결정했다. 1차 경선에서 살아남은 4명은 이날부터 2차 대선 경선에 진출하게 된다.

1차 경선은 100% 일반 국민 여론조사 방식으로 전날부터 이날까지 이틀에 걸쳐 이뤄졌다. 대선 경선 후보 8명 중 김문수·한동훈·홍준표(가나다순) 후보의 2차 경선 진출이 유력하고, 남은 한 자리를 나경원·안철수 후보 중 1명이 차지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뒤이어 이뤄지는 2차 경선은 당원 투표와 국민 여론조사 방식이다. 오는 27~28일에 조사가 이뤄지며 29일에 2차 경선 결과가 나온다. 여기서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상위 득표자 2명을 대상으로 내달 1~2일 당원 투표 및 국민 여론조사를 진행, 내달 3일 확정 짓는다.

독주 중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 꺾겠단 야심 찬 목표로 기획됐으나, 곳곳에서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 대한 쓴소리도 나오고 있다. 2030 세대의 관심을 끌 목적으로 예능 요소를 가미했다지만, 무게감이 떨어졌다는 지적과 우려가 끊이지 않는다.

지난 20일 치러진 B조 토론회에서는 사회자가 “다음 중 하나만 골라 다시 태어나야 한다면 1번 바퀴벌레로 태어나기, 2번 자동차 바퀴로 태어나기” 등 질문을 해 도마 위에 올랐다. 정치권은 물론, 각 후보 캠프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과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국민의힘 사무실 앞에 당 관계자가 대선 경선 후보자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국민의힘 사무실 앞에 당 관계자가 대선 경선 후보자 포스터를 붙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 후보의 캠프에 합류해 있는 정계 관계자는 “지금 우리가 되게 여유롭다고 착각하는 것 같다”며 “당에서 배출한 대통령이 두 번째로 탄핵되서 치르는 (조기) 대선인데 이렇게 선관위가 위기감이 없을 수 있는가”라고 불만을 표했다.

후보 간 인신공격성 발언도 등장했다. 홍준표 후보가 지난 20일 한동훈 후보를 향해 “키도 크신데 뭐 하려고 키높이 구두를 신는가”라고 지적하자, 한 후보 캠프 특보단장인 신지호 전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이 “눈썹 문신 1호 정치인”이라고 반격했다.

다소 어수선하게 경선이 치러지는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 여부가 추후 표심에 다소 영향을 끼칠 수 있단 전망도 정치권에서 나온다. 한 대행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는 참여하지 않았으나, 출마 여부와 관련해 명확한 입장을 내지 않은 상태다.

한 대행이 출마할 경우 경선을 통해 선출된 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하거나,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경선 프리패스’에 따른 형평성 논란이 불거질 수 있고, 후자는 표심 이탈로 민주당에 승기를 내줄 수 있다는 데서 후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 주자들 사이에서도 대체로 한 대행의 출마를 견제하는 분위기다. 다만 김문수 후보의 캠프에 합류해 있는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한 대행과 김 후보의 단일화가 대선에서 최종 승리할 방안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만약 한 대행이 조기 대선 출마를 결심한다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내달 4일까지는 직에서 물러나야 한다. 앞으로 2주 안에 더 뚜렷한 대권 경쟁 구도가 잡힐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