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표 취임한 이후
통화 한 번 한적없어”
나도는 연대설에 선그어
문형배 헌재소장 대행 저격
“처신 지나치게 가벼운분 계셔
···추후 국민 불신 원인될수도”

오세훈 서울시장이 ‘조기 대선’이 치뤄질 경우 세간에서 나오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연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오 시장은 13일 ‘MBN 뉴스와이드’에 출연해 “한 전 대표가 국민의힘 대표가 된 작년 여름 이후 식사나 전화통화 한 번 한 적이 없는데 왜 연대설이 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그런 이야기는 사실무근으로 치부해도 괜찮을 것”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참모들에게 ‘한 전 대표는 대선을 생각하시는 분인데 서울시장 이야기를 하면 큰 결례니 지나가는 말로도 그런 말씀을 안하는 것이 좋다’고 단호하게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오 시장이 조기 대선 출마를 택하고, 한 전 대표가 서울시장 선거에 출마하는 연대설이 제기되고 있다.
오 시장과 한 전 대표 지지층이 겹치기에 연대설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주장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오 시장은 “지지층이 겹친다는 것에도 동의할 수 없지만 지지층이 겹치면 연대를 안할 것”이라며 “오히려 지지층이 겹치지 않는 사람들이 연대할 때 시너지 효과가 난다”고 밝혔다.
다른 여권 잠룡들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에 대해 오 시장은 “이제 당이 다르고 대선에 이미 출마를 선언한 분”이라며 “(연대는) 크게 결례되는 이야기다. (이 의원은) 최대한 열심히 뛰시는게 맞고, 그럴만한 역량이 있는 분”이라고 밝혔다.
최근 여권 대권후보로 분류되는 정치인들 가운데 지지율이 급등한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해서는 “저도 마음속으로 존경하는 분이고, 당연히 지지율이 높게 나올만하다”고 밝혔다. 다만 오 시장은 “아직 대선 국면이 아닌데 그런 지지율을 가지고 논하는 게 너무 이르기 때문에 제가 되도록이면 언급은 자제해야 될 상황인 것 같다”고 했다.
헌법재판소에서 진행중인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서는 “누가 봐도 계엄은 무리스러웠고, 탄핵 소추를 통해 법의 심판을 받아보자고 주장했다”면서도 “헌재 재판은 상당히 우려하는 마음이 생긴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헌재 재판관 구성원 중 처신이 지나치게 가벼운 분이 계신다”며 “본인의 정치적 정체성을 드러내는데 조심성이 없는데 이 점은 추후에 어떤 결정이 내려져도 국민적 불신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을 염두에 두고 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또 오 시장은 “(탄핵 심판이) 지나치게 서두르고 있다”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재판은 다음달까지 선고가 나오니마니 하는 판에 대통령 지위가 걸려있는 헌재 재판이 지나치게 속도를 내면 국민들은 동의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헌법재판소가 18일 추가 변론기일을 지정한 것에 대해서도 오 시장은 “어떤 국민도 충분한 심리가 이뤄졌다고 보기 어려운 재판기간일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서울시는 국회에서 개헌 토론회를 진행하고, 일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하는 등 굵직굵직한 행보를 이어나갔다. 개헌 토론회의 경우 여당 의원 48명이 얼굴을 비추면서 일각에서는 ‘미니 출정식’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개헌 논의의 경우 이재명 대표만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하는 모양새다. 오 시장은 “조기 대선이 치러지는 상황이 되면 우리 당 후보 중 누가 나와도 개헌 이야기를 다 할 것”이라며 “민주당의 의회 폭거로 계엄상황까지 왔기 때문에 해결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될 것이고, 이 대표도 지금은 회피하지만 결국 동의하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에 따른 집값 급등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오 시장은 “만약 비정상적으로 가격이 계속 오르게 되면 다시 묶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향후 부동산 시장 안정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투기 행위가 발생하면 재지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