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한국앤컴퍼니 조현범 회장 “美 생산능력 2배 확대로 ‘관세’ 정면 돌파”

박소현 기자
입력 : 
2025-03-26 09:56:13
수정 : 
2025-03-26 10:05:5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함에 따라, 한국앤컴퍼니그룹의 조현범 회장은 현지 생산력 확대를 명령하며 불확실한 글로벌 환경에 대응하고 있다.

이 회사는 북미 시장에서의 배터리 사업 강화와 SUV 및 전기차 시장의 프리미엄 라인업 확대에 집중하고 있으며, 테네시 공장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조 회장은 경제·무역 정책을 면밀히 관찰하며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하였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한국앤컴퍼니 조현범 회장 “美 생산능력 2배 확대로 ‘관세’ 정면 돌파” [사진제공=한국앤컴퍼니그룹]
한국앤컴퍼니 조현범 회장 “美 생산능력 2배 확대로 ‘관세’ 정면 돌파” [사진제공=한국앤컴퍼니그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동차 및 부품 관세 25% 부과 가능성’을 언급해 글로벌 리스크 대응이 중요해진 가운데, 한국앤컴퍼니그룹 조현범 회장이 임직원들에 ‘현지 생산력 2배 이상 확대’를 주문하며 트럼프 시대 정면 돌파를 독려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 한 달간 경기도 판교 본사 테크노플렉스에서 경영혁신회의와 지역 전략회의(RSC) 등 그룹별 글로벌 전략 점검을 위한 회의를 계열사·대륙별로 연쇄 개최했다고 26일 밝혔다. 조 회장은 국가 핵심기술력 강화와 미국 트럼프 시대의 글로벌 불확실성 대응에 방점을 둔 전사적 차원의 글로벌 전략 점검·실행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룹은 회의에서 ▲한국(Hankook) 배터리 북미 시장 공략 본격화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전기차(EV) 시장 성장에 따른 프리미엄 라인업 확대 ▲기술·가격 경쟁력 강화를 위한 플랜 ▲지속가능 밸류업 전략을 통한 글로벌시장 점유율(MS)·브랜드 인지도 제고 ▲글로벌 비지니스 환경변화 선제 대응안 등을 논의·점검했다.

조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 경제·무역 정책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미국 정부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선제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며 “국가 핵심기술을 보유한 기업으로서 국가 경쟁력 강화와 위상 제고에 보탬이 되도록 전략의 ‘신속 실행’에 방점을 두고 움직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앤컴퍼니 조현범 회장 “美 생산능력 2배 확대로 ‘관세’ 정면 돌파” [사진제공=한국앤컴퍼니그룹]
한국앤컴퍼니 조현범 회장 “美 생산능력 2배 확대로 ‘관세’ 정면 돌파” [사진제공=한국앤컴퍼니그룹]

한국앤컴퍼니는 그룹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배터리(납축전지) 사업을 염두에 두고 올해 북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납축전지는 지난해 한국앤컴퍼니 전체 매출의 약 70%를 담당하며 실적을 견인했다. 미국 테네시 공장을 증설해 연간 150만대 생산능력을 2배 이상 확대해 프리미엄 AGM 배터리 생산량도 2030년까지 500만대 규모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한국앤컴퍼니의 선제적 전략으로 올 상반기 미국의 보호무역·관세 정책에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졌다는 분석이다. 한국앤컴퍼니는 북미 수출은 전년 대비 약 20% 증가했고 브랜드 인지도 강화와 더불어 유통 채널·판매 지역 확대 전략도 병행 중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한국타이어는 RSC를 통해 SUV·EV 시장 확대 현황 및 대응 전략을 심도 있게 모색했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전동화와 대형 SUV 중심으로 재편하는 가운데 고성능 타이어 공급 등 믹스개선으로 시장 주도권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미국발(發) 관세 리스크가 커지는 가운데 테네시 공장 생산량을 2배 이상 늘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현재 연 550만개 생산 규모를 올해 연 1200만개로 대폭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가격 관리 및 유통망 최적화를 위한 로드맵도 내놨다. 이를 위해 국가·지역별 가격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시장 변화에 반응하고 환율 변동성에도 실시간으로 대처할 방침이다. 현지 맞춤형 유통 전략을 실행하는 가운데 유통 네트워크 확대·강화 시장으로는 호주·대만·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을 선정했다.

그룹 관계자는 “한국타이어의 독보적 기술력과 최적화한 생산·유통·브랜딩 전략, ‘한국 배터리’의 대규모 투자 및 프리미엄 전략 등을 바탕으로 글로벌 하이테크 그룹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