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율 90% 올라왔지만 강풍에 불똥 날아다녀
고용부, 중대재해법 위반...창녕군 경남도 조사 예정

12명의 사상자를 낸 경남 산청 산불이 닷새째 이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주불 진화에 애로를 겪고있다. 특히 하동 옥종면 방향으로 불이 계속 확산되면 이들 지역의 주민 대피도 늘고 있다.
25일 산림청과 경남도에 따르면 이날 정오 기준 산불 진화율은 90%로 올라왔으나 오후 들어 강풍이 하동쪽으로 불면서 소방당국이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당국은 옥종 초중고를 임시대피소로 추가지정하고 대피인원을 늘렸다. 산청 산불로 인해 대피한 주민들은 모두 1222명으로 늘었다. 전날 768명보다 500명이 추가로 대피한 것이다. 특히 하동군 에서만 809명이 대피했다. 지난 23일 100명에 불과하던 인원이 8배 이상 급증했다.
재산피해도 늘고 있다. 산림은 1572ha가 불에 탔고, 주택, 공장, 사찰 등 시설피해도 60개소로 전날보다 3개가 늘었다.
신대호 경남도 균형발전본부장은 이날 산청 시천면 산불 현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전날 야간 진화에 노력한 결과 상당 부분 불이 꺼졌다”며 “최선을 다하겠지만 예상 못 한 강풍이 불면서 불씨가 날리고 있다. 해발 900m가 넘는 고산지대에 쓰러진 나무가 많아 헬기로 물을 뿌려도 불씨가 남은 경우가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인명피해가 많이 발생한 산청 산불 현장에 대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조사도 들어간다.
고용노동부는 산불진화대원 3명과 인솔 공무원 1명이 숨진 일과 관련해 고용노동부가 중대재해처벌법을 위반한 점이 있는지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사망한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은 경남 창녕군 소속이다. 이에 창녕군이 일차적으로 조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산불 진화 작업을 경남도가 지휘한 만큼 경남도에 대한 조사도 이뤄질 예정이다.
희생된 이들은 지난 22일 오전 산불 현장에 투입됐다가 진화작업 중 산 중턱에서 고립되면서 목숨을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