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문화

900년 수령 은행나무도 불탔다...국가유산 피해 총 3건

이향휘 기자
입력 : 
2025-03-23 20:10:02
수정 : 
2025-03-23 20:14:3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남 하동의 두양리 은행나무가 최근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었으며, 일부 가지가 꺾이거나 불에 탄 것으로 확인됐다.

이 은행나무는 고려시대 강민첨 장군이 심은 것으로 전해지며, 높이는 27m, 둘레는 9.3m이고 약 9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주말 동안 발생한 산불로 인해 전국에서 총 3건의 국가유산 피해가 보고되었으며, 강원도 정선의 백운산 칠족령 일부도 소실되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국가유산청 집계

경남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피해

경남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경남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경상도를 덮친 대형 산불로 수령이 900년에 이르는 은행나무도 불에 탄 것으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23일 대형산불로 경상남도 기념물인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가 일부 소실됐다고 밝혔다. 전소된 것은 아니나 굵은 가지 상당수가 꺾이거나 불에 탄 것으로 확인됐다. 두양리의 은행나무는 경남에서 가장 큰 은행나무로 고려시대 강민첨(963∼1021)이 심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은 “강 장군은 진주향교에서 공부하다가 이곳에 와서 조상의 사당을 짓고 제사를 지냈다”고 설명한다. 나무의 높이는 27m, 둘레는 9.3m이며 나이는 900년 정도로 추정된다. 1983년 도 기념물로 지정됐다. 국가유산포털에 공개된 안내판 설명에 따르면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를 신성하게 여겨 기도를 드리기 위해 지금도 자주 찾는다고 한다.

두양리 은행나무
두양리 은행나무

강민첨 장군을 모신 사당인 하동 옥종면 두방재도 산불로 피해를 봤다. 경남도 문화유산자료인 두방재는 지난 22일 부속 건물 2채가 전소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주말과 휴일인 22∼23일 전국 곳곳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피해가 발생한 국가유산은 오후 5시 기준으로 총 3건이다. 강원도에서는 정선에서 발생한 산불로 인해 명승 ‘백운산 칠족령’의 지정 구역 일부가 소실된 것으로 파악됐다. 현재 산불은 진화된 상황이다.

국가유산은 아니지만 경북 의성의 천년고찰 운람사도 화염에 휩싸여 전소됐다. 조계종사회복지재단 대표 묘장스님은 24일 오전 경남 산청 산불 피해 지역민에게 이불과 긴급구호 물품을 전달할 예정이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비지정 문화재 운람사 전체가 전소됐다. 사진은 23일 불에 탄 운람사 모습. <연합뉴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비지정 문화재 운람사 전체가 전소됐다. 사진은 23일 불에 탄 운람사 모습. <연합뉴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