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홍준표 “판다 데려와라”...대구대공원 조성 앞두고 특명 내렸다는데

우성덕 기자
입력 : 
2025-02-04 10:53:11
수정 : 
2025-02-04 11:29:1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7년 완공 예정인 대구대공원에 중국의 판다를 유치하기 위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대공원에 판다를 관리할 수 있는 시설을 검토하라고 지시하며, 이와 관련해 중국 청두시와의 협력도 강조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판다가 대구로 오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할 것이라며 대구대공원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내달 대구시, 中 청두시에 사무소 개소
‘판다의 도시’ 청두시 교류 협력 기대
洪, 주한 중국대사에게도 판다 대여 요청
홍준표 대구시장(사진제공-대구시)
홍준표 대구시장(사진제공-대구시)

2027년 완공 예정인 대구대공원에 중국의 ‘판다’가 올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4일 대구시에 따르면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3일 간부회의에서 “대구대공원에 ‘판다’를 데려올 수 있도록 협의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면서 대구대공원에 “판다를 관리할 수 있는 시설도 검토해 보라”고 주문했다.

대구대공원은 수성구 삼덕동 일원 185만㎡ 부지에 1조5000억 원을 들여 동물원과 반려동물테마파크, 산림레포츠시설, 공공주택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대구대공원에는 1970년에 조성된 대구 중구 달성공원 내 동물원도 이전한다.

홍 시장이 대구대공원에 중국의 판다를 데려오라고 지시한 건 다음 달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서 대구사무소가 개소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대구대공원 조감도(사진제공-대구도시개발공사)
대구대공원 조감도(사진제공-대구도시개발공사)

판다의 도시로 알려진 청두시는 대구시의 자매도시로 청두시에서 현지 사무소를 운영하는 건 대구시가 국내 지자체 중 처음이다. 지난해 에버랜드에서 나고 자란 판다 ‘푸바오’도 중국 쓰촨성 청두시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홍 시장은 청두시를 방문해 스샤오린 중국 쓰촨성 당 위원회 부서기 겸 청두시 당 위원회 서기와도 만나 양 도시 간 협력도 논의했다. 앞서 홍 시장은 지난해 대구시청에서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를 만난 대구대공원에 판다 한 쌍을 보내줄 것을 공식 요청한 바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만약 판다가 대구로 오면 전국에서 사람들이 몰려와 대구대공원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