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아버지 시신 김치냉장고에 보관한 아들, 왜?…“사망신고 늦춰야 해서”

변덕호 기자
입력 : 
2025-01-23 11:00:4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3년 4월, 70대 아버지의 시신을 1년 7개월간 냉동고에 보관한 40대 아들이 시체은닉 혐의로 구속됐다.

A씨는 아버지의 사망 사실이 알려지면 진행 중인 이혼 및 재산분할 소송에서 불이익을 받을 것이라 우려하여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은 B씨의 사망 사실이 지난해 10월 실종 신고로 밝혀지자 A씨가 자수했고, 법원은 그에 대해 도주 우려를 이유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경기 이천경찰서 전경. [사진 출처 = 경기남부경찰청]
경기 이천경찰서 전경. [사진 출처 = 경기남부경찰청]

2023년 사망한 70대 부친의 시신을 1년 7개월간 냉동고에 보관해 온 40대 아들이 구속됐다.

경기 이천경찰서는 시체은닉 혐의로 이 사건 피의자 A씨를 구속했다고 23일 밝혔다. A씨는 2023년 4월 이천시에 홀로 사는 아버지 B씨의 집에 방문했다가 부친이 숨져 있는 것을 보고는 시신을 비닐에 싸 김치냉장고에 넣어 1년 7개월간 보관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지난해 11월 변호사와 함께 경찰서를 찾아 자수했다. A씨는 부친의 사망으로 인해 당시 진행 중이던 소송에서 재산상 불이익이 발생할 것을 우려해 일을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B씨는 숨지기 전인 2022년 7월부터 아내이자 A씨의 의붓어머니인 C씨와 이혼 및 재산분할 소송을 진행 중이었다.

민법상 이 같은 소송 진행 도중 당사자가 사망할 경우 다른 사람이 이를 대신할 수 있다는 규정이 없기 때문에 소송은 종료된다. 이 경우 남은 배우자가 상속의 권리를 가진다.

B씨의 사망 사실이 알려지면 이혼 및 재산분할 소송이 종료되고, C씨는 재산분할 대상이 아닌 B씨의 다른 재산에 대해서도 정해진 지분을 상속받을 권리가 생기는 상황이었다.

B씨가 소유한 부동산 중에는 현재 A씨가 거주 중인 집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경찰에서 “아버지가 돌아가신 사실이 알려지면 소송이 끝나게 돼 불이익이 생길 것 같았다”는 취지로 혐의를 인정하는 진술을 했다.

A씨의 범행으로 인해 이후에도 B씨와 C씨 사이의 소송은 법률 대리인을 통해 계속 진행됐고, B씨 사망 1년 만인 지난해 4월 대법원의 확정판결이 내려졌다.

그 사이 A씨는 B씨의 휴대전화로 C씨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으면서 B씨가 사망한 사실을 숨긴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A씨는 지난해 10월 친척에 의해 B씨의 실종 신고가 접수돼 경찰 수사가 시작되자 이로부터 한 달여 만에 자수를 결정했다.

수원지법 여주지원은 A씨에 대해 지난 22일 시체은닉 혐의로 사전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법원은 “도주 우려가 있고, 죄질이 중하다”고 영장 발부 사유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는 최초 2023년 9월 시체를 유기했다고 진술했으나, 수사 결과 이보다 앞선 같은 해 4월 시체를 유기한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며 “부검 결과 타살의 직접적인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 시체은닉죄로만 송치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