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사사건건 尹에 깐족” vs “尹옆에서 아부”…洪·韓, 계엄책임론 정면 충돌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4-25 19:31:28
수정 : 
2025-04-25 19:32:0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홍준표와 한동훈 후보는 25일 대선 경선 일대일 토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책임에 대해 격렬하게 논쟁했다.

홍 후보는 자신이 당 대표였다면 계엄과 탄핵 사태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대표로서 대통령과 협력해 정국을 안정시켰을 것이라며 상대를 비판했다.

이에 한 후보는 홍 후보가 대통령에게 아부하며 책임을 회피했다고 반박하며, 보수 정당은 계엄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25일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토론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25일 종로 동아미디어센터 채널A 오픈스튜디오에서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진출자인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토론 전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 = 국회사진기자단]

홍준표·한동훈 후보는 25일 일대일 토론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책임론 등을 놓고 격돌했다.

이날 토론회는 국민의힘 2차 대선 경선에 진출한 홍·한 후보가 서로를 지목하며 각각 주도권을 가지고 1시간 30분씩 총 3시간 동안 진행된다.

홍준표 후보는 “내가 당 대표였으면 계엄도 일어나지 않았고, 탄핵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대표라는 사람이 사사건건 대통령에게 시비 걸고 깐족대고 하니까 대통령이 참을 수 있었겠나. 내가 대표였으면 아무리 속상해도 대통령과 협력해서 정국을 안정시키려 했을 것”이라고 직격했다.

이에 한 후보는 “홍 후보처럼 대통령 옆에서 아부하면서 대통령 기분 맞췄던 사람들이 계엄의 책임이 있다”며 “저는 계엄을 막았던 사람이라는 말씀을 드리고, 보수 정당에서는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한 후보는 이어 “계엄이 해프닝이었다는 생각 지금도 동일한가”라고 물으며 “대구에서 많은 시민을 만났는데 소상공인의 삶이 어려워졌다고 한다. 환율도 폭등했는데 해프닝일 뿐인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홍 후보는 “계엄 때문에 세상이 흉흉하니까 그런 피해는 있었겠다”고 답했다.

한 후보는 “작년 11월 페이스북에 이재명 후보 법인카드 유용 의혹 관련 기소에 대해 ‘꼭 이런 것도 기소해야 옳았나’라고 했다”며 “지방자치단체장이 법카 가지고 과일 사 먹고, 샴푸 사도 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홍 후보는 “작은 것을 끄집어내서 기소해서 정치적 논쟁거리를 만드냐는 말”이라며 “온갖 사소한 것 잡아서 터는 게 수사 비례의 원칙에 맞는가. 법무부 장관을 했으면 논리에 맞게(말해야 한다)”라고 반박했다.

홍 후보는 ‘문재인 전 대통령 딸 다혜 씨 관련 수사도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는 한 후보의 질문에 “법에도 눈물이 있다”고 답했다.

이에 한 후보는 “홍 후보는 민주당 사람들한테만 눈물을 흘리는가”라며 “대선을 앞두고 민주당 이재명과 같이 간다고 눈물을 흘리는가”라고 꼬집었다. 앞서 홍 후보가 ‘집권하면 이재명의 민주당 세력과도 함께 가도록 하겠다’고 한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홍 후보는 “3년 동안 윤 전 대통령이나 한 후보가 나라 운영을 어떻게 했길래 지금 나라가 이 꼴이 됐는가”라며 “한 후보나 윤 전 대통령처럼 똑같이 대결 구도로 하면 이 나라는 어디로 가는가. 야당의 존재를 인정하고, 대화할 건 대화하고, 타협할 건 타협해야 한다”고 말했다.

‘깐족’이라는 표현을 두고도 두 후보는 충돌했다.

한 후보는 “일상생활에서 주변인들에게 깐족댄다는 말을 쓰는가”라며 “그런 표현 쓰면 안 된다. 폄하하는 표현”이라고 비판했다.

홍 후보는 “오늘 깐족대는 것만 보고 다음부터 안 쓸 것”이라며 “깐족댄다는 표현을 모르고 저래 쌌네”라고 반박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