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청년들만 국민인가”…고독사 4명중 3명 40∼60대 ‘낀 세대’

류영상 기자
입력 : 
2025-10-06 21:40:59
수정 : 
2025-10-06 21:54:3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 사회의 중장년층 고독사가 심각하지만, 이를 위한 정부 정책은 여전히 부족하다.

70% 이상의 응답자가 본인의 고독사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84%가 돌봄 서비스의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

중장년층을 포함한 전 연령 대상의 통합 실태 조사를 실시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위기 군 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고독사 예감’ 중장년 절반 육박해
사회돌봄 서비스 부족 느끼고 있어

고립·은둔 실태조사 청년에 집중돼
중장년층 심층 분석도 전무한 상황

전연령 대상으로 통합 실태조사해야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우리 사회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장년층 고독사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7년간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4명 중 3명이 40∼60대 중장년층이지만 이들을 위한 정부의 정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이다.

6일 국가데이터처의 국가통계포털 자료와 국회입법조사처에 따르면 2017~2023년 발생한 고독사 사망자 2만1897명 중 74.8%가 40∼60대에 집중됐다. 구체적으로는 50대가 31.1%로 가장 많았고 60대(27.9%), 40대(15.8%)가 그 뒤를 이었다.

스스로 고독사를 예감하는 중장년도 많다.

지난해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45∼69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23.1%가 ‘본인이 고독사할 가능성이 70%가 넘는다’고 답했으며 ‘50∼70%’라고 답한 비율도 24.3%에 달했다.

또 이들 중 84%가 국가나 사회의 돌봄 서비스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부처간 칸막이 허물고 데이터 공유”
[이미지 = 연합뉴스]
[이미지 = 연합뉴스]

문제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대응은 안일하다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고립·은둔 실태조사는 청년층에만 집중돼 있다.

인천, 광주, 대전 등 일부지역에서 ‘청중장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한 바 있지만, 중장년층만을 독립적인 대상으로 삼아 심도 있게 분석한 조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조사 주체마다 대상 연령이나 기준, 방식도 제각각이라 일관된 데이터를 확보하기도 어렵다.

실제로 복지부는 2023년에 청년을 대상으로 한 고립·은둔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나 정작 고독사 핵심 위험군인 중장년층에 대한 통계자료는 없다고 올해 1월 공식적으로 답변하기도 했다.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 채 추진되는 정책이 과연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일본이나 영국이 16세 이상 전 연령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 결과를 정책 수립의 핵심 근거로 활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지금이라도 중장년층을 포함한 전 연령을 대상으로 한 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 사각지대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통신, 금융, 건강보험 등 각종 행정 데이터를 연계한 빅데이터 기반의 위기군 발굴·관리 시스템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위험 징후를 조기에 파악하고 선제적으로 지원 서비스를 연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부처간 칸막이를 허물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협력체계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