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한덕수 이어 尹도?”…‘신중모드’ 속 기대감 드러내는 국민의힘

이상현 기자
입력 : 
2025-03-25 16:40: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을 기각하면서, 국민의힘 내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안도 기각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한 기각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하며, 헌재의 숙고가 길어지는 것이 기각의 신호로 여겨지고 있다고 밝혔다.

당내에서는 한 총리의 탄핵 기각을 통해 기존의 탄핵소추안이 정략적이었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있으며, 윤 대통령의 재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촉구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각하를 촉구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의 탄핵소추안을 기각한 가운데 국민의힘 안팎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역시 기각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당내 일각에서는 아전인수격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지만, 헌재의 숙고가 길어지는 건 헌법재판관들 사이에서 ‘만장일치’ 결론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점점 힘을 받는 추세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25일 원내대책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전망과 관련해 “제 개인적 판단으로는 기각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국회 법사위원장으로서 탄핵소추위원장을 맡았던 그는 “과거 탄핵소추위원으로서의 제 경험, 현재의 여론, 박 전 대통령 때와 헌법재판의 구조가 다르고 사안 자체가 다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라며 이같이 전망했다.

권 원내대표가 윤 대통령 탄핵안과 관련해 공개적으로 ‘기각’ 전망을 제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권 원내대표는 앞서 지난 19일 “여러 설들이 돌고 있지만, 우리도 입수한 정보가 없다”며 “다만 우리가 바라고 희망하는 것은 탄핵 기각이라는 것”이라고만 밝힌 바 있다.

김영민 국민의힘 부대변인 역시 전날 한 총리 탄핵심판 결과와 관련, “절차에 관한 부분들이 굉장히 잘못돼 있었다. 각하 또는 기각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 탄핵심판 등과 관련해 “(야당이) 지금까지 연쇄적으로 탄핵했던 부분들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운데)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운데)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재 국민의힘은 헌재의 숙고가 길어지는 것이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기각·각하 가능성이 높다는 방증으로 보고 있다. 별개 사건이긴 하나, 한 총리 탄핵안의 기각으로 “(기존 탄핵소추안이) 헌정파괴 목적의 정략적 탄핵이었음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는 게 당 지도부의 시각이다.

앞서 헌재는 전날 한 총리 탄핵심판 선고를 진행, 기각을 선고했다. 재판관 8명 중 5명이 기각, 2명이 각하, 1명이 인용이었다. 다만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헌재의 직접적 판단이 나오지 않은 게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은 국민의힘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검사 출신이자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장인 주진우 의원의 경우 헌재가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것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이 다 동의하는 문구를 쓸 수 없는 것”이라며 “이견이 팽팽한 상황이다. 이건 명확하다”고 주장했다.

주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2명의 재판관이 (한 총리 탄핵심판에서) 별개의 의견이 아닌 명확한 각하 의견, 반대 의견으로써 자기 의사를 명확히 했다”며 “그 부분을 보면 두 재판관은 절차적인 보장을 굉장히 중요시하는구나. 그러면 대통령의 재판에 있어서 각하 가능성이 어느 정도 더 높아졌구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고 추론했다.

대외적으로는 ‘신중모드’를 이어가고 있지만, 한 총리 탄핵안 기각을 계기로 윤 대통령 역시 복귀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국민의힘 전반의 분위기다. 복수의 여권 관계자는 8명의 헌법재판관 전원이 인용 판단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