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경제

“돌반지 괜히 팔았네, 이렇게 오르나”…금값 사상 첫 4000달러 돌파

홍성윤 기자
입력 : 
2025-10-08 09:53: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제 금값이 사상 최초로 4000달러를 돌파하며 안전자산 수요가 급등하고 있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4004.40달러에 마감했으며, 올해 금값은 연초 대비 50% 이상 상승했다.

향후 금값 전망은 엇갈리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금이 헤지 수단이 될 것으로 보고 있고, 반면 시장 조정 위험에 대한 경고도 나오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골드만삭스, 2026년말 4900달러 전망
국제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금 제품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국제 금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1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 금 제품이 진열되어 있다. [사진 출처=연합뉴스]

국제 금값이 사상 최초로 4000달러를 돌파했다.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프랑스 정치 불안 등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안전자산 수요가 급등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4004.40달러에 마감했다. 금 선물 가격이 4000달러를 웃돈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급값은 장중 4014.60달러까지 상승했다.

올해 들어 금값은 사상 최고가를 수시로 경신하며 연초 대비 50% 넘게 급등했다. 이처럼 가파른 상승률은 1979년 2차 석유 파동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충격 이후 처음이다. 은 역시 트로이온스당 약 48달러로 연초 대비 60% 가까이 상승했다.

향후 금값 전망은 엇갈린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레이 달리오 창업자는 한 경제 포럼에서 투자자들에게 “포트폴리오의 최대 15%를 금에 배분하라”라고 조언했다.

그는 화폐가치 하락, 지정학적 불확실성 상승 등의 경제 환경에서 금이 헤지 수단이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골드만삭스 그룹 역시 2026년 12월 금 가격 전망치를 4300달러에서 4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반면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6일 시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시장에 조정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