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옆집 가시내도 떠나부렀다네”...청년 발길 끊긴다는 이 지역, 대응나섰다는데

송민섭 기자
입력 : 
2025-03-11 11:13:57
수정 : 
2025-03-11 11:25:4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청년층의 인구가 최근 3년간 줄어들며 2024년에는 순유출이 8478명에 달하고, 이에 따라 TF는 일자리 창출, 주거 지원 등 6개 분과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효성 있는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3년간 청년 1만명 유출 ‘비상등’
전북, 청년 인구 유출 대응팀 구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전북특별자치도청. 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11일 전북도에 따르면 전북 청년층(18~39세)은 2024년 기준 38만 5523명으로 전체 인구의 22.2%를 차지하지만, 최근 3년간 연평균 약 1만 3000명씩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2024년 청년 인구 전입은 2만 6844명, 전출은 3만 5322명으로 순유출 인원이 8478명에 달해 심각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전북특별자치도는 11일 청년 유출․입 대응 전담팀(TF)’ 킥오프(Kick-off) 회의를 개최하고, 청년 유출을 차단하고 유입을 장려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TF는 전북연구원, 경제통상진흥원 등 유관기관 및 도내 23개 부서와 협력해 맞춤형 정책을 수립 및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일자리·교육·주거·문화·복지·참여·권리 등 6개 분과를 운영하며, 청년들이 겪고 있는 핵심 어려움을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TF는 우선적으로 ▲좋은 일자리 창출 ▲기업 맞춤형 인재양성 ▲내집 마련 지원 ▲문화·복지 향상 ▲청년 참여 활성화를 주요 목표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전북연구원과 협력하여 청년 유출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 정책화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군산대학교 이국용 교수가 청년 유출의 원인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언했으며, 전북연구원은 청년층을 위한 좋은 일자리 창출 정책 방향을 발표했다. 또한, 분야별 분과위원회 운영 계획이 논의되면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협력 방안이 구체화됐다.

앞으로 전북특별자치도는 TF를 중심으로 각 분과별 연구 및 정책 토론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며 사업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또한, 청년들의 직접적인 의견을 듣기 위해 간담회와 포럼을 운영하고, 청년 정책 참여단과 협력하여 정책 수요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올해 두 차례의 전체 회의를 통해 주요 정책을 확정한 후, 내년도 예산과 연계해 실질적인 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속도를 낼 예정이다.

전북특별자치도 천영평 기획조정실장은 “청년층의 지속적인 유출은 전북의 미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심각한 문제”라며 “청년들이 전북에 정착하고, 외부 인재도 유입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