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떠나는 청년 붙잡아라”…전북, ‘함성패키지 사업’ 확대

송민섭 기자
입력 : 
2025-02-17 11:44:2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돌아오게 하기 위해 ‘함성패키지 사업’을 확대 시행하고, 청년들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미취업 청년, 재직 청년, 근로 청년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천영평 기획조정실장은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루고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전북 청년 4년간 약 3만 4000명 줄어
‘전북형 청년활력수당’ 등 지원책 마련
청년 정착이 곧 미래!‘함성패키지’로 지방소멸 극복 리플렛. 전북도 제공.
청년 정착이 곧 미래!‘함성패키지’로 지방소멸 극복 리플렛. 전북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청년 인구 유출을 막고, 떠나간 청년도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함성패키지 사업’을 확대 추진한다. 청년이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4년간 전북에서는 약 3만 4000여 명(18~39세)의 청년이 타 지역으로 떠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북 18~39세는 ▲2020년 1만286명 ▲2021년 8219명 ▲2022년 8666명 ▲2023년 7196명으로 줄었다. 전주시를 제외한 도내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는 등 인구 감소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이 같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청년층의 지역 정착을 지원하는 종합 대책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지원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함성패키지 사업’은 전북 청년들의 구직·정착·자산 형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주요 사업으로 ▲‘전북형 청년활력수당’(미취업 청년 지원)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재직 청년 지원)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근로 청년 자산 형성 지원)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경제적 부담 없이 취업을 준비하고, 안정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북형 청년활력수당’은 미취업 청년 2000명을 대상으로 6개월간 매월 50만 원을 지원하며, ‘전북청년 지역정착 지원사업’은 중소기업, 농업, 문화예술 등에서 근무하는 청년 3000명에게 월 30만 원을 1년간 지원한다. 또한, ‘전북청년 함께 두배적금’은 중위소득 140% 이하 청년이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동일 금액을 지자체에서 지원해 2년 만기 시 약 500만 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난해 만족도 조사 결과, 참여자 대부분이 사업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으며, 전북특별자치도는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개선과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천영평 전북자치도 기획조정실장은 “전북의 미래는 청년들에게 달려 있다”며 “청년들이 지역에서 꿈을 이루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