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권성동 최후통첩 “검찰은 오늘 오후 6시까지 尹 석방해야...안 하면 불법감금죄로 고발”

강계만 기자
입력 : 
2025-03-08 16:31:27
수정 : 
2025-03-08 16:39:38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8일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적 석방을 촉구하며, 검찰이 오후 6시까지 석방하지 않을 경우 불법감금죄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에도 불구하고 검찰의 지속적인 구금은 인권침해이자 헌법 위반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민의힘은 검찰이 윤 대통령을 석방하지 않을 경우 다음 날 곧바로 고발장을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심우정 검찰총장이 직접 석방지휘해야”
위계질서 무너져...본부장 사표제출도 요구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8일 서울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8일 서울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8일 윤석열 대통령의 즉각적인 석방을 촉구하면서 “오늘 오후 6시까지 이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며 “수사팀이 거부할 경우 심우정 검찰총장이 직접 석방 지휘를 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법원의 전날 윤 대통령 구속취소 결정에도 불구하고 검찰에서 계속 서울구치소에 붙잡아 두는 것에 대해 “명백한 인권침해이자 헌법위반”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검찰이 석방 지휘를 하지 않을 경우 수사 담당 검사와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장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와 불법감금죄로 고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검찰청이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취소 청구를 인용한 법원의 판단을 수용해 즉시 항고를 포기하고 석방 지휘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대통령 경호처 차량이 정문을 통과해 들어가고 있다. [사진 = 뉴스1]
대검찰청이 윤석열 대통령의 구속취소 청구를 인용한 법원의 판단을 수용해 즉시 항고를 포기하고 석방 지휘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8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대통령 경호처 차량이 정문을 통과해 들어가고 있다. [사진 = 뉴스1]

권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6시를 윤 대통령 석방을 위한 데드라인으로 두고 검찰을 향해 최후통첩했다. 국민의힘은 검찰에서 윤 대통령을 석방하지 않으면 다음 날인 9일 곧바로 검찰을 향해 불법감금죄로 고발장을 접수한다는 방침이다.

권 원내대표는 “사상 초유의 대통령 불법감금 사태가 벌어질 것으로 상상조차 못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검이 석방 지휘 지침을 내렸지만, 수사본부가 반발한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특수본부장을 비롯한 검사들이 응하지 않는 것은 검찰의 위계질서를 다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본부장을 비롯한 검사들은 사표를 제출하는 게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서울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서울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비상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이날 대검찰청 앞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을 즉각 석방하라는 법원의 명령에도 검찰은 대통령을 불법감금하고 있다”며 “검찰이 야당의 협박에 굴복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날 국민의힘 의원총회에는 35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의원들은 “대통령을 석방하라”, “즉시 석방 촉구한다” 등의 구호를 외쳤다.

법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이후 첫 주말인 8일 오후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열린 자유통일을 위한 국민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법원의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이후 첫 주말인 8일 오후 광화문 광장 일대에서 열린 자유통일을 위한 국민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