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이상현 기자]](https://pimg.mk.co.kr/news/cms/202502/25/news-p.v1.20250225.eda6ca8c1abb4fe5bbd65ce14a789271_P1.jpg)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25일 종결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84일, 국회가 지난해 12월 14일 탄핵을 의결한 지 73일 만이다.
헌재는 이 기간 11차례에 걸쳐 변론을 진행했다. 윤 대통령의 운명을 가를 최종 선고는 다음 달 이뤄질 전망이다.
다음은 주요 상황 정리.
◇ 2024년
▲ 12월 3일 =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 12월 4일 = 국회,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통과. 윤 대통령, 계엄 해제 선언.
▲ 12월 7일 = 윤 대통령 1차 탄핵소추안,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투표 불성립.
▲ 12월 14일 = 윤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서 가결. 탄핵소추 의결서 헌재 접수.
▲ 12월 16일 = 헌재, 첫 재판관 회의 개최. 이미선·정형식 수명재판관 지정, 정형식 재판관 주심 지정.
▲ 12월 27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차 변론준비기일. 쟁점 정리.
▲ 12월 31일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조한창·정계선 재판관 임명.
◇ 2025년
▲ 1월 3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준비기일. 윤 대통령 대변인 첫 답변서 제출.
▲ 1월 14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차 변론. 윤 대통령 불출석으로 4분 만에 종료.
▲ 1월 15일 = 윤 대통령,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체포.
▲ 1월 16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 5명 증인 채택.
▲ 1월 18일 = 윤 대통령,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출석.
▲ 1월 19일 = 서울서부지법,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 1월 21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3차 변론. 윤 대통령 직접 출석.
▲ 1월 23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증인신문.
▲ 1월 26일 = 검찰 특별수사본부, 윤 대통령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기소.
▲ 2월 4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증인신문.
▲ 2월 6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6차 변론. 김현태 특전사 707특수임무단장,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증인신문.
▲ 2월 11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백종욱 전 국가정보원 3차장, 김용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 증인신문.
▲ 2월 13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 조태용 국정원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 조성현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 증인신문.
▲ 2월 18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9차 변론.
▲ 2월 20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 한덕수 국무총리,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조지호 경찰청장 증인신문. 헌재, 2월 25일 변론 종결 고지.
▲ 2월 25일 = 윤 대통령 탄핵심판 11차 변론. 윤 대통령·정청래 법제사법위원장, 최종 의견 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