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 살리기 주도권 쟁탈전
野, 추경 필요성 강조하자
與 “李 태세전환” 비판
AI 예산확대 논의엔 동의
![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사무총장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2/03/news-p.v1.20250202.a2e4b9a80eed4eb0aed1f2d3f6129a38_P1.jpg)
답보 상태를 유지하던 인공지능(AI) 예산과 반도체특별법,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에 대한 국회의 논의 물꼬가 트였다. 중국발 ‘딥시크 쇼크’로 반도체 산업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된 데다 2월 국회 주도권 싸움에 나선 여야가 중도층 공략에 공을 들이면서다.
2일 기자간담회를 자처한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사무총장은 “민생 경제를 살리기 위해 긴급 민생 추경이 필요하다”며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추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사무총장은 AI 예산과 관련해서도 “AI 등 미래 먹거리를 위한 투자도 시급하다”며 “반대를 위한 반대로 시간 끌 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여당은 국정 운영의 책임 주체로서 (추경) 안을 제시해야 한다”며 “4일 당정 협의에서 한 번이라도 정부·여당다운 모습을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김 사무총장은 최근 주철현 최고위원의 사의로 공석이 된 지명직 최고위원에 당내 대표적 경제통인 홍성국 전 의원을 내정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민주당의 이러한 분위기에서 여야 대치 속 논의에 진전이 없던 반도체특별법이 처리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돈다. 특별법에 포함된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의 ‘주 52시간제 적용 예외’를 놓고 민주당 등 야권은 근로기준법을 무력화한다며 반대해왔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2/03/news-p.v1.20250202.45ff1a196ee74c75bd869d173843e680_P1.jpg)
이와 관련해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3일 관련 정책 디베이트(토론)를 직접 주재하고 당론을 정하기로 했다. 최근 “필요한 조치를 과감하고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며 ‘실용주의’를 표방한 이 대표에 의해 전격적으로 예외를 허용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이 AI 추경과 반도체특별법 처리 논의를 시사한 데 대해 국민의힘은 추경을 하더라도 민생 중심으로 꾸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민의힘 AI 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이미 AI 관련 추경 편성을 선제적으로 제안한 바 있다”며 “20조원 규모의 AI·민생 추경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AI 추경 규모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이재명 대표 등 누구와도 토론할 수 있다”며 “5조원이든 10조원이든 AI 추경 규모를 정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총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여야 합의 처리하기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2/03/news-p.v1.20250202.604576835fe04e50b3bafc434d932987_P1.jpg)
권성동 원내대표 역시 ‘우클릭’하는 이 대표의 행보가 ‘태세 전환’이라 비판하면서도 민생 추경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내놨다. 그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민주당이 R&D 예산을 대폭 삭감할 때, 중국은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공개하며 기술 패권 경쟁에서 앞서 나가고 있다”면서 “다리를 부러뜨려 놓고 연고를 바르면 된다는 이재명식 정치가 초래한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민생 추경 관련 논의에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질의응답에서 “이 대표가 AI 예산의 집중 배정을 주장하는 동시에 이른바 민생 지원금 포기하겠다면서 추경을 제안했다”며 “추경이 정치적 논쟁으로 번지면 국정 안정에 도움이 안 되니, 이에 대한 실무적 논의는 시작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여야의 2월 국회 주도권 싸움은 경기 침체를 타개하기 위한 중장기적 재정·복지 이슈인 국민연금 개혁 관련 논의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연금 개혁과 관련해 국민의힘은 여야 동수의 특위를 꾸려 모수·구조개혁을 동시에 추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이 대표는 최근 ‘2월 중 모수개혁(보험료율·소득대체율 조정) 완성, 이후 구조개혁 즉시 추진’ 방침을 천명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