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52시간 제도 수정·보완할 용의”
與 “여야정 협의체 복귀부터 해야”
![딥시크 [로이터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2/02/news-p.v1.20250130.f1a9ac07e3f84111ae291bb2bb00d650_P1.jpg)
‘딥시크 쇼크’ 파장이 정치권으로 확산하면서 연구개발(R&D) 인력에 대한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를 포함한 반도체특별법이 급물살을 타기 시작했다.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2일 “산업 현장에서 (주 52시간) 예외 제도를 활용하기 곤란한 실제적인 사유가 있다면 현행 제도를 수정·보완할 용의가 있다”면서 “실태 확인, 노사 간 합의 등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사안이므로 논의를 더 진행해 나가되, 그 외 반도체산업 지원 등 합의 사항을 우선 통과시키는 게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주 52시간 예외가 다른 산업계로 번질 수 있다며 반도체특별법에 해당 조항을 넣는 것을 완강히 반대해왔으나 기류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당은 3일 이재명 대표가 참여하는 ‘반도체특별법 정책 디베이트(토론회)’를 열고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또 민주당은 인공지능(AI) 분야 투자를 위한 대규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제안했다. 김윤덕 민주당 사무총장은 “수많은 대내외 전문가가 경기 부양을 위한 민생 추경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AI 등 미래 먹거리를 위한 투자도 시급하다”면서 “민주당이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초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이에 대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표가 민생에 진심이라면 여·야·정 협의체에 복귀해야 한다”며 “협의체를 통해 어떤 분야에 추경이 어느 정도 규모로 왜 필요한지 논의하는 것이 추경안 제출의 속도를 낼 수 있고, 정치적 논란도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추경 시점은) 진행 속도에 따라 정하는 것으로, 미리 산정할 필요는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