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추경 합의시 AI 추경도 필요”
최형두 “개인정보 규제 이슈 해소해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AI) 출시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의힘 AI 특별위원회가 31일 긴급 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국민의힘은 의원회관에서 ‘딥시크 여파에 따른 우리의 AI 대응전략’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당 지도부와 AI 특위 위원, 특위에 속하지 않은 유상범, 한지아 의원 등도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딥시크 기술의 현황과 AI 주요 3개국(G3)으로 도약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딥시크 쇼크는 AI가 더 이상 소수의 독점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준 계기”라며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다. 기술 격차가 더 벌어지기 전에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기술 시장에서 영원한 선도국, 영원한 추종국은 있을 수 없다는 원리를 깨우쳐 준 하나의 사례”라며 “우리나라도 국가적으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대표되는 반도체 산업,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법 등이 하루속히 여야가 합의해서 2월 임시 국회에서 반드시 통과 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고 당부했다.
안철수 국민의힘 AI 특위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딥시크 쇼크는 위기이자 기회”라고 진단했다. 그는 “하드웨어 투자가 비교적 부족한 우리나라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대한민국은) 소프트웨어쪽 스타트업이 거의 없는 형편인데 (딥시크가)오픈 소스를 하니까 천재적 프로그래머는 이걸 갖고 새로운 걸 만들 수 있다. 이런 쪽의 가능성도 열여줬다”고 말했다.
안 위원장은 AI 산업 육성을 위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콘텐츠까지 모든 부문에서 ‘한국의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AI 특위에서) 중장기적으로 구체적인 법안과 사업과 예산들을 만들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합의 한다면 민생 경제 추경과 AI 추경이 핵심이 될 것”이라며 “제대로 된 예산안을 내도록 시간을 맞춰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AI 특위 부위원장인 최형두 의원은 “중국은 14억명의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쓸 수 있다. 우린 5000만명밖에 안되는데 데이터를 쓰는 데 큰 제약이 있다”며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과 상의해서 AI를 위해 개인정보 규제 문제를 AI 선진국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느냐를 논의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