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1/16/news-p.v1.20250116.d3b9da9a85d44d8d916d76669afa806e_P1.jpg)
12·3 비상계엄 사태 당일 국군방첩사령부로부터 체포조 지원을 요청받았던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체포 대상 정치인 명단을 방첩사로부터 전달받은 정황이 검찰 공소장에 담겼다는 보도가 나왔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국혁신당 박은정 의원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95쪽 분량의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공소장에는 이현일 국수본 수사기획계장이 당일 밤 11시 32분부터 20분간 구인회 방첩사 수사조정과장과 두 차례 나눈 통화 내용이 적시됐다.
구 과장은 “경찰 인력 100명과 호송차 20대를 지원해달라”며 “방첩사 5명, 경찰 5명, 군사경찰 5명 이렇게 한 팀으로 체포조를 편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되는대로 경찰관을 국회로 보내달라”고도 요청했다.
이에 이 계장은 “도대체 누구를 체포하는 것입니까”라고 물었고, 구 과장은 “한동훈, 이재명 대표”라고 대답했다.
특정 정치인을 체포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 이 계장이 이후 전창훈 수사기획담당관, 윤승영 수사기획조정관에게 이러한 내용을 보고했다고 검찰은 판단했다.
윤 조정관은 밤 11시 59분께 조지호 청장에게 “한동훈 체포조 5명을 지원해달라고 한다”는 내용을 보고했다. 이 계장에게는 “경찰청장에게 보고가 됐으니 방첩사에 명단을 보내주라”고 지시했다.
윤 조정관은 우종수 국수본부장에게도 전화로 방첩사 지원 요청과 그에 따른 명단을 조 처장에게 보고하고 조치했다고 전했다.
당시 제주도 출장 중이던 우 본부장은 이 보고를 받고 윤 조정관을 크게 질책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미 명단은 방첩사에 넘긴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이후 영등포경찰서 형사 60여명은 당시 국회 인근에 모였다.
조지호 청장은 사실상 불법 체포조 지원 요청 사실을 보고받고도 별다른 조치 없이 묵인·방조했다고 검찰은 판단한다.
경찰청은 이와 관련해 “수사기획계장은 방첩사로부터 이재명·한동훈 대표를 들은 사실이 없다”며 “검찰이 방첩사의 진술만을 채택해 작성한 공소장 내용으로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국수본은 그간 현장에 파견된 영등포경찰서 형사 10명은 누군가를 체포한다는 인식이 없었고, 수갑도 소지하지 않았으며 방첩사 인력도 만나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당시 국회 수소차 충전소 앞에 영등포서 형사 60여명이 모인 것은 사실이지만, 국회 담장이 무너질 것 같다는 이야기를 듣고 달려간 것이었다고도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