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가 120만원의 33.5배
공공산후조리원 확층 지적도
![산후조리원, 임신, 출산 키워드로 생성AI가 그린 이미지. [챗GPT]](https://pimg.mk.co.kr/news/cms/202510/12/news-p.v1.20251010.8e3c87a1d90b4823a373071545a97356_P1.png)
전국 산후조리원 이용요금 차이가 최대 3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2600만원이던 산후조리원 특실 최고가는 2025년 4020만원으로 4년 새 1.55배 상승했다. 출산 후 회복을 위해 거의 모든 산모들이 이용하는 시설임에도 지역·소득에 따른 격차가 극심해 소비자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 4020만원, 최저 120만원으로 조사됐다.
일반실 기준으로는 서울 강남의 A·H산후조리원이 각각 1700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전북 군산의 M산후조리원이 120만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특실의 경우 최고가는 강남 D산후조리원(4020만원), 최저가는 전남 강진 공공산후조리원(154만원)으로 집계됐다.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몰려 있었으며 나머지 3곳은 서울 용산구·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각각 위치했다. 상위 10개 조리원의 평균 이용요금은 1260만원으로, 하위 10개소 평균 150만1000원보다 약 8.4배(약 1110만원) 높았다. 특히 하위 10곳 중 6곳은 공공산후조리원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었다.
남 의원은 “보건복지부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 따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지만 전국 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개소에서 2024년 하반기 460개소로 줄었다”며 “같은 기간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232만원에서 355만원으로 100만원 이상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시설은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조리원을 선택할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올해 6월 기준 공공산후조리원의 일반실 평균 이용요금은 약 174만원으로 민간의 절반 수준이지만, 전국 공공산후조리원은 21곳에 불과해 접근성이 매우 낮다”며 “공공산후조리원을 확충해 산모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복지부가 올해 2월 발표한 ‘2024년 산후조리 통계’에서도 산모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정책으로 ‘산후조리 관련 비용 지원’(60.1%)이 1위를 차지했다. 산후조리원 선택 기준으로는 ‘집이나 병원과의 거리’(59.1%)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으며 이어 ‘가격 대비 시설·프로그램 수준’(32.5%), ‘가격이 저렴한 곳’(19.9%) 순으로 나타났다.
남 의원은 2021년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남 의원은 “개정안 시행 이후 밀양·김천·상주·순천·화천·양양·포천·서대문 등 8곳이 새로 문을 열어 공공산후조리원이 2021년 13곳에서 2025년 21곳으로 늘어난 것은 의미 있는 변화”라면서도 “전체 조리원 중 공공산후조리원 비율은 5%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어서 지속적인 확충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