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기업

“문 닫아야지, 이제 못버티겠어요”…자영업자 작년 매출·10% 이상 감소, 폐업 검토 비율은?

한재범 기자
입력 : 
2025-02-25 13:34:20
수정 : 
2025-02-25 13:51: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매출과 순이익이 2023년에 비해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3.6%의 자영업자들이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 72.6%가 지난해 매출이 줄었다고 응답했으며,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한 경영부담으로 이들이 직면한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한경협은 이러한 상황이 서민경제의 위기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며,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소비를 촉진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한국경제인협회 [한경협]
한국경제인협회 [한경협]

내수 부진 장기화로 대부분 자영업자들의 지난해 매출과 순이익이 2023년보다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적 악화, 재무부담 등으로 자영업자 10명 중 4명(43.6%)은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25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은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영업자 2024년 실적 및 2025년 전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 72.6%은 지난해 매출이 직전해에 비해 감소했다고 답했다. 감소폭은 평균 12.8%로 나타났다. 순이익 역시 10명 중 7명(72.0%)은 직전해에 비해 13.3% 감소했다.

자영업자 중 절반 이상은 실적 악화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경협에 따르면 올해 매출 전망이 2024년에 비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61.2%, 순이익이 지난해 비해 감소할 것이란 응답은 62.2%를 기록했다.

고물가·고금리가 장기화면서 자영업자들의 경영부담도 늘어나고 있다. 자영업자들에게 가장 큰 부담이 되는 경영비용은 원자재·재료비(22.2%),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상환 원리금(14.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자영업자들의 대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지난해 기준 1억 2000만으로 파악됐다. 같은 기간 월 이자 부담액은 84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들이 연평균 8.4%의 금리 부담을 안고 있는 셈이다.

한경협은 “예금은행의 평균 대출금리가 4.7%이고 소액대출 금리가 6.9% 점을 감안할 때, 상당수 자영업자들이 은행 대출 이외에 제2금융권 등에서도 대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설상가상으로 자영업자 10명 중 4명(43.6%)은 3년 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8.1%) 등을 이유로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한경협은 밝혔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지속될 경우 서민경제의 위기가 심화될 수 있으므로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촉진 방안을 강화해 소상공인들의 숨통을 틔워줘야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