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증시는 2월 물가 둔화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 완화로 기술주를 중심으로 저가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2일(현지 시각) 상승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2.55포인트(0.20%) 내린 4만1350.93에 장을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7.23포인트(0.49%) 상승한 5599.30, 나스닥종합지수는 212.35포인트(1.22%) 상승한 1만764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미국 노동부는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0.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2.8% 상승하며 1월의 3.0% 상승보다 상승률이 완만해졌다. 2월 근원 CPI도 전월 대비 0.2% 상승, 1월의 0.4% 상승보다 둔화했다. 2월 수치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1월 CPI와 비교했을 때 흐름이 완만해졌다. 시장은 인플레이션 우려를 덜어내는 분위기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덜었다. 최근 주가를 추락시킨 경기침체 우려가 끈적한 인플레이션과 결합하면 증시는 추가로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 아스피리언트자산관리의 데이브 그렉섹 투자전략 디렉터는 “2월 CPI 결과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약간 희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정책을 밀어붙이면서 시장은 여전히 혼란하다. 이날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25%의 관세가 발효됐다. 이에 캐나다와 유럽연합(EU)은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그런데도 트럼프 대통령은 EU의 방침에 대해 “우리는 대응할 것이다. 돈의 전투에서 이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기술주 위주로 저가 매수세가 유입됐다. 대형 기술주 그룹 ‘매그니피센트7(M7)’ 중 1.75% 떨어진 애플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올랐다. 테슬라는 7.59%, 엔비디아는 6.43% 상승하면서 반등에 성공했다. 메타, 아마존, 알파벳도 2% 안팎으로 상승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연말 S&P500지수 목표치를 기존 6,500에서 6,200으로 하향 조정했다. 다만 UBS는 연말 목표치를 6,600으로 유지하며 현재보다 주가가 약 18%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