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경쟁사, 모방 후 절반 가격에 판매”

과거 중국 고성능 자동차 시장을 장악했던 독일 완성차 업체들이 저가 공세를 펼치는 중국 업체들에 밀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 시장에서 고급 주행 성능과 정밀한 엔지니어링을 무기로 수십 년 간 시장을 장악했던 독일 자동차 업체들이 옛 모습과는 달리 중국 경쟁사들에 밀리고 있다.
특히 포르쉐는 지난해 중국 내 판매량이 전년 대비 28% 급감했다. 중국 이외 시장에선 판매량이 늘었으나, 중국에서의 판매량 감소 여파로 인해 글로벌 판매량도 3% 하락한 것으로 회사 측은 분석했다.
판매량 감소의 배경으로는 중국 업체들의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AI) 기술 탑재 전기차 제조 기술에 대한 업체들의 과소평가가 꼽힌다.
포르쉐의 전기 스포츠카인 타이칸은 샤오미가 출시한 SU7에 경쟁력 면에서 뒤처져있다는 평가를 받는 것으로 알려진다. 타이칸을 모방했다는 지적을 받을 정도로 비슷한 외형을 가진 SU7은 타이칸과 비슷한 수준의 출력과 제동력을 갖췄으나, 중국 현지에서 타이칸의 절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고 NYT는 보도했다. SU7은 주차 어시스트 기능, 통합 AI 기술 등을 포함해 차별성을 확보하기도 했다.
NYT는 “시장 전문가들은 소프트웨어와 자동 주행, 원격 제어와 같은 기능의 발전이 중국 전기 자동차의 표준이 됐다고 설명한다”면서 “브랜드 이름으로 돈을 벌던 유럽 자동차 업체들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NYT는 포르쉐가 유럽연합(EU) 등 미국의 교역 파트너를 상대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역시 실적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한다고 짚었다. 포르쉐는 특히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과는 달리 독일에서 제조한 차량만 미국에 공급하고 있어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