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국제

외교회담서 “한미동맹 신뢰” 말하더니…트럼프, 수입車 관세폭탄 타이머 눌렀다

김덕식 기자
김상준 기자
입력 : 
2025-02-16 18:46:23
수정 : 
2025-02-16 20:56:3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월 2일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도입 일정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미 외교장관은 뮌헨에서 회담을 가지며 한국에 대한 미국의 신뢰를 재확인하고 북한 비핵화에 대한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양국 장관은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한 긴밀한 협의를 약속하며, 일본 외무상과의 회의를 통해 대만의 국제 참여를 지원하는 내용도 논의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트럼프 “4월 2일께 차 관세 도입”
적용인지 발표 날짜인지는 불분명

美국무장관, 崔 대행 신뢰 재차 밝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첫 공식 발표

한미일외교회담서 ‘北 비핵화’ 재확인
트럼프2기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코메르츠방크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왼쪽부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 한미 양국은 관세 문제에 대해 정부 부처 단위로 협의하기로 했고,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공조를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사진 = 외교부]
트럼프2기 첫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 뮌헨안보회의에 참석한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15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코메르츠방크에서 열린 한·미·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왼쪽부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회담에서 한미 양국은 관세 문제에 대해 정부 부처 단위로 협의하기로 했고,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공조를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사진 = 외교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오는 4월 2일께 내놓겠다고 밝혔다. 한미 외교장관은 뮌헨안보회의를 계기로 독일에서 첫 회담을 하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신뢰를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 행사에서 수입 자동차 관세 도입 일정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아마도 4월 2일께”라고 답했다. 다만 관세 적용 시점인지, 관세 계획을 발표하는 날짜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앞서 미국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는 각국에 대한 관세 연구를 4월 1일까지 마무리한 뒤 4월 2일에 시작할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우리는 관세보다 훨씬 더 가혹한 부가가치세(VAT·부가세) 시스템을 사용하는 나라들을 (대미) 관세를 가진 나라와 비슷하게 여길 것”이라고 적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15일 뮌헨에서 성사된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과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회담 직후 “루비오 장관은 한국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한미동맹의 강인함에 대한 그의 신뢰를 재차 밝혔다”고 소개했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정부가 공식 발표 자료를 통해 한국 권한대행 체제에 신뢰를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양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고 향후 대북정책 수립·이행 과정에서도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다. 양측은 회담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취임 직후 ‘북핵 용인’으로 해석되는 발언을 내놓으며 증폭됐던 우려에 선을 그었다. 또 대북정책과 관련해 한미 공조를 강조하며 미·북 대화 재개 움직임과 맞물려 제기되는 ‘한국 소외’ 가능성을 불식시키려는 모습을 보였다.

조 장관은 회담에서 관세 문제에 대해 양국 간 긴밀한 협의에 따른 해결 의지를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관계 부처 간에 협의하자”고 말했다. 조 장관은 양자 회담에 이어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3자 회의도 열어 3자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3국 장관은 회의 이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만이 적절한 국제기구에 의미 있게 참여하는 데 지지를 표명했다”고 밝혀 보다 분명하게 대(對)중국 견제 메시지를 발신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