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각) “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잘 지냈다”면서 “그는 터프한 녀석(tough cookie)”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대해서는 ‘핵보유국(nuclear power)’이라고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난 김정은을 좋아했다. 이제 그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국)다”며 “난 그와 매우 좋은 관계를 만들었다. 그는 터프한 녀석(tough cookie)”이라고 말했다. ‘터프 쿠키’는 거칠다는 뜻의 터프(tough)와 녀석이라는 뜻의 쿠키(cookie)의 합성어다. 의지가 굳세어 실패에도 포기하지 않고 극복하는 사람을 뜻하는 관용어다.
미국 대통령이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명시한 건 이례적이다. 북한을 ‘핵보유국’이라고 지칭하면 북한의 핵무기 보유를 용인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핵보유국’은 인도·이스라엘 등 자체 핵실험으로 사실상 핵무기 기술을 가지고 있다고 비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곳을 일컫는다. 핵확산금지조약에 따라 핵무기 제조 및 운용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인정받는 국가는 ‘공식 핵무기 보유국(Nuclear Weapon State)’이다. 미국·러시아·중국·프랑스·영국 총 5개국이다.
앞서 피트 헤그메스 국방부 장관 지명자가 지난 1월 14일 인사청문회에서 “북한은 핵보유국”이라고 칭한 바 있다. 헤그메스 지명자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까지 북한은 핵보유국이라고 천명한 것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핵보유국이라는 단어의 외교적 함의를 인식한 건지, 단순히 북한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말한 건지는 불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