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족들로 가득한 명동 거리. [사진=픽사베이]](https://pimg.mk.co.kr/news/cms/202510/09/news-p.v1.20251009.19dc192de7654ed0accf8138d44447fe_P1.jpg)
‘10조 돈벼락’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조치에 대한 경제효과 추산액이다. 중국인들의 씀씀이는 작년 한국관광공사 추산 기준 1622달러선. 100만명 정도의 유입을 기대한다면, 단순 계산해도 2조2800억원이다. 항공 숙박 등 연관 효과까지 감안하면 10조원에 이른다는 관측이다.
여기까지만 보면 온통 장밋빛이다. 과연 그럴까. 천만에다. 이미 시작부터 곳곳에서 잡음이 터지고 있다. 다른 뉴스에 묻혔지만, 중국 인바운드 전담 여행사들이 지난 24일 법무부의 무비자 설명회 현장에서 제도 미비에 대한 성토를 연발하며 ‘단체 보이콧’까지 선언할 뻔한 상황이 펼쳐지기도 했다.
업계는 이번 조치를 내년 6월까지 타이머가 돌아가는 시한폭탄에 비유한다. 자칫, 폭발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경계해야한다는 따끔한 지적이다.
전국 지자체들 사이에선 이미 파열음이 흘러나오고 있다. ‘현금 살포’로 중국인 유치전에 나서면서 ‘조공 관광’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경상남도는 외국인에게 1인당 5만 원의 숙박비를 지원한다고 밝히면서 지역민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무안 사태 불똥이 튄 전라남도 역시 체류 관광객에게 1인당 13만원(3박 기준)을 퍼준다. 최첨단 AI시대에 10년전에나 봄직한 ‘현금 퍼주기 정책’이 말이 되냐는 게 관광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각에서는 중국인 단체 무비자의 무용론까지 터져나온다. 개별 여행족이 80%에 육박하는데, 단체에 대해 무비자 혜택을 줘봐야 실효가 없다는 논리다.
중국에 대한 반감도 해결해야 할 현안이다. 유커 무리에게 ‘차이나, 아웃’을 코앞에서 외쳐대는 초강력 혐중 시위는 명동에서 여의도 권역까지 번지는 등 확산일로다.
가장 큰 문제는 이를 진두지휘 할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이다. 인바운드 정책을 현장 조율하는 한국관광공사 대표는 2년째 공석이다. 최근 열린 제 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외래 관광객 3000만명 유치를 내세웠는데, 정작 실행단의 수장은 비어있는 꼴이다.
째깍째깍. 폭탄 해체를 맡을 요원은 없는 데, 무비자 시한폭탄의 타이머는 이미 가동됐다. 타이머를 잘 멈춰 세워 10조 돈벼락이 터질 지, 해체 실패로 결국 뇌관이 터질 지, 지켜볼 일이다.
신익수 여행전문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