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9일 경제전문가로서 국제무대 경험을 내세우며 제21대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전 미국 방문길에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이 과거로 돌아갈지, 미래로 나아갈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기로에 서 있다”며 “정권교체만으로는 부족하다. 정치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정권교체 그 이상의 교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17년 탄핵 후 첫 경제부총리, 저에겐 경제위기 때마다 해결할 경험과 노하우가 있다”며 “30년 넘게 쌓은 국제무대에서의 경험과 네트워크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총선과 선거 주기를 맞추기 위한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 △기획재정부·검찰 해체 수준 개편, 전관 카르텔 혁파 등 ‘기득권 개혁’과 10개 대기업 도시 조성 △기후산업 400조 투자 △감세 중단과 국가채무비율 조정으로 200조 재정 마련 등 ‘경제 대연정’을 공약했다.
또 무책임한 감세 남발 등 포퓰리즘 정책을 하지 않는 ‘정직하고 당당한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김 지사는 “저는 계파도 없고 정치공학도 모른다”며, “나라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계파이고, 경제를 걱정하는 국민이 저의 조직”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3무 3유’ 선거운동 원칙을 제시하며 네거티브, 세 과시, 조직 동원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대신 비전과 정책 중심, 청년과 함께하는 젊은 선거를 약속했다.
그는 “오늘 출마선언을 하는 날이어서 미리 말씀드리는 게 도리라 생각해 공항에 오기 전 전화 드렸다”며 “문 전 대통령께서는 경선 과정에서 경쟁하더라도 더 큰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힘을 모으고, 그 중심에 (김 지사가) 섰으면 좋겠다면서 격려해주셨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지사는 “저 김동연의 ‘모두의 나라, 내 삶의 선진국’을 향한 유쾌한 반란을 이제 시작한다”며 국민들의 지지와 동참을 호소했다.
김 지사는 도지사직을 유지하면서 경선을 치를 예정이다. 대통령 탄핵으로 보궐선거(조기 대선)가 치러질 경우 광역단체장이 대선에 출마하려면 선거일 기준 30일 전에만 사퇴하면 되기 때문에 당내 경선 과정에서는 일단 지사직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