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민주노총 “다음주 수요일까지 尹 탄핵선고일 확정안돼면 목요일 총파업” 선언

안병준 기자
입력 : 
2025-03-20 15:26:0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 일정을 확정하지 않을 경우 27일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양경수 위원장은 헌재의 즉각적인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며, 이번 파업의 목적은 헌재에 신속한 선고 일정을 요청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27일 오후 3시 서울에서 파업대회가 열리며, 각 지역에서도 자체 파업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27일 이후에는 선고일 지정까지
매주 목요일 하루 단위 총파업
사진설명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헌법재판소가 오는 26일까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 일정을 확정하지 않을 시 27일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20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헌재의 즉각적인 윤석열 파면을 촉구하는 총파업을 선언했다.

단식 13일 차를 맞는 양경수 위원장은 “역대 최장기간의 대통령 탄핵 사건을 헌재는 여전히 답하지 않고 있다. 이에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라며 “이 혼란이 지속된다면 우리 사회는 돌이킬 수 없이 붕괴될 것”이라 했다. 이어 “태산이 가로막더라도 터널을 뚫고 극복하겠다는 결심으로 나서겠다. 민주노총 조합원 동지들, 시민 여러분 함께 싸우자. 부당한, 부조리한, 극악한 윤석열에 맞서 싸우자”고 호소했다.

또 양 위원장은 “이번에 결정한 파업의 목적은 헌재가 선고 일정을 신속하게 잡으라는 것”이라며 “총파업일을 27일로 결정한 것은 선고가 다음 주 중에는 돼야 한다는 의사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선고 결과에 따른 이후 투쟁 여부는 별도로 판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총파업은 현재 쟁의권을 지닌 사업장이 거의 없는 만큼 산별 노조들이 내부 논의를 거쳐 파업의 규모와 범위, 방식 등을 확정해 진행한다. 민주노총 산하 노조원이 모두 파업에 참여하는 방식보다는 간부들을 중심으로 연차 등을 사용해 일을 멈추는 방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당일에는 오후 3시에 서울에서 파업대회를 열고, 지역에서는 자체 파업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비상행동 참가단체에 27일 총파업, 총투쟁에 함께 할 것을 제안한 상황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