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노인들한테 와이파이가 왜 필요해?…경로당 10곳 중 6곳은 미설치

최재원 기자
김정범 기자
입력 : 
2025-01-24 21:22:44
수정 : 
2025-01-25 05:51:4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의 경로당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 높은 IT 강국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아날로그 시대에 머물러 있어, 공공와이파이 설치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보안 시설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특히, 스마트 경로당 전환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전체 경로당의 2%에 불과해 실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안전 문제 해결을 위한 첨단 출입 시스템 도입과 배상책임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문제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7만곳 중 설치된 곳 43% 그쳐
인천 90%인 반면 대구 14%

도어록 등 안전장치도 미비
[사진 = 픽사베이]
[사진 = 픽사베이]

한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을 토대로 최고 정보기술(IT) 강국으로 손꼽히지만 경로당은 여전히 ‘아날로그’ 시대에 머물고 있다. 무료로 통신 데이터를 쓸 수 있는 공공와이파이가 설치된 경로당이 절반에 그친다. 경로당 보안시설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부분의 경로당이 전자출입증 시스템은커녕 현관 잠금장치조차 없어 아무나 드나들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매일경제가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전국 약 7만곳 경로당 가운데 와이파이가 설치된 곳은 43.4%로 나타났다. 작은 식당과 카페 등에도 와이파이가 거의 다 설치돼있는 것과 달리 경로당은 여전히 절반 넘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없는 환경인 셈이다.

특히 17개 광역시·도별로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91.8%), 광주시(83.2%), 강원도(76.0%)의 경로당 와이파이 설치율은 70%를 웃돌았다. 반면 대구시의 경로당 와이파이 설치율은 14.2% 불과하고, 충청남도 역시 15.1%에 그쳤다.

서울 지역 경로당의 와이파이 설치율은 58.7%다. 전국 평균보다는 높지만 IT 강국의 수도라는 기대치를 감안하면 높지 않은 숫자라는 평가다. 서울 은평구에 거주하는 양명화 씨(74)는 “요즘은 어디에 가나 와이파이가 돼서 스마트폰으로 유튜브를 볼 수 있는데, 경로당에는 와이파이가 없어서 잘 안 가게 된다”고 말했다.

사진설명

아날로그 경로당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2021년부터 ‘스마트 경로당’ 전환 사업을 시작했지만 아직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스마트 경로당은 지난해 말 기준 1400여 곳으로, 전국 경로당 약 7만곳 가운데 2%에 그친다.

스마트 경로당은 영상회의 플랫폼을 구축해 율동과 노래교실 등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을 강사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어르신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각종 감지센서와 CCTV 등 스마트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119 상황실 등에 신고가 이뤄지면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경로당의 취약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첨단 출입증 시스템을 활용한 스마트 경로당 개선 작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매일경제가 최근 한 달 동안 전국 경로당 113곳을 현장조사한 결과 대부분 경로당이 출입 잠금장치가 되지 않은 상태로 열려 있었다. 얼굴이나 지문인식 시스템이 도입되면 열쇠나 출입카드 없이도 어르신들이 쉽게 방문할 수 있고, 출입 데이터도 쌓을 수 있다. 실제 2023년 말 시니어센터로 확대 재건축된 서울 강남구 학리경로당은 출입문에 안면인식 시스템이 설치돼 외부인이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었다.

화재 등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도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당은 사회복지사업법 제34조 3항에 따라 화재·안전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책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돼 있다. 이를 어길 경우 30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로당도 상당수다. 인구 밀집도가 높은 서울시의 경우 지난해 11월 말 기준 경로당 3611곳 가운데 677곳은 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상태다. 가입률을 81.3%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경기도 역시 경로당 1만320곳 가운데 1175곳은 책임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 대한노인회, 경로당 광역지원센터가 협력해 손해배상책임을 위한 보험에 가입하도록 안내하고 정기적으로 지도·감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