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훈 대구 달서구청장
2030년 완공 목표로 본격추진
"도시품격에 맞는 랜드마크로"
청사 내 스마트팜 운영 등
도시농업 키워 기후위기 대응
결혼 장려·민생 지원도 앞장
2030년 완공 목표로 본격추진
"도시품격에 맞는 랜드마크로"
청사 내 스마트팜 운영 등
도시농업 키워 기후위기 대응
결혼 장려·민생 지원도 앞장

이태훈 대구 달서구청장은 집무실에 걸린 '대구시 신청사' 조감도를 보며 이렇게 말했다. 조감도를 바라보는 이 청장의 올해 각오는 남다르다. 신청사 건립이 올해부터 본격 추진되기 때문이다. 대구시 신청사는 설계비 예산 162억원이 반영돼 올해 상반기 설계 공모에 들어가 2026년 착공해 2030년 완공을 목표로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된다. 이 청장은 2019년 대구 4개 구·군과 치열한 유치 경쟁을 벌인 끝엔 달서구의 옛 두류정수장 용지(7만8000㎡)에 신청사를 유치한 바 있다. 하지만 신청사 조감도를 바라보는 이 청장의 표정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이 청장은 매일경제와 신년 인터뷰를 하며 "지금 20층 높이의 신청사 건축 계획은 대구시의 랜드마크가 될 수 없다"며 "청사 용지 주변 고층 아파트 건립 등으로 인해 지금 계획만으로는 신청사의 위용이 위축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 청장은 "신청사가 대구의 랜드마크가 되기 위해서는 넓은 잔디광장을 비롯해 두류공원과 조화되는 건물 배치와 높이, 형태, 기능 등에서 새로운 접근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대구·경북 행정 통합에 대비해 통합 청사의 위용도 갖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청장은 "지방 분권 시대에 대비해 교육청과 경찰청, 지방 행정기관, 나아가 대구·경북 통합 청사도 염두에 둬야 한다"며 "건축의 힘으로 도시가 비상한 사례가 적지 않은 만큼 지역 도시의 품격과 매력, 자부심을 줄 수 있도록 건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청사와 함께 이 청장이 올해 역점 사업으로 관심을 갖는 분야는 '도시농업'이다. 기후위기로 인해 가격 변동이 심한 농작물 가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도시농업이 확대돼야 한다는 것이다. 달서구는 지난해 상인동의 한 공공청사 공간을 활용해 지역 최대 규모인 도심형 스마트팜을 개관해 운영 중이다. 수직 농장의 재배실(372㎡)을 갖춘 공공청사 내 스마트팜은 전국에서 이곳이 유일하다. 이 청장은 "이곳에서 재배되는 채소는 사계절 내내 로컬푸드 매장 등에 공급되고 있다"며 "앞으로 다른 공공건물 등에도 스마트팜을 만들어 기후위기 시대에 도시농업의 미래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 청장이 도시농업 확산에 관심을 갖는 것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도시 구현과도 연관이 있다. 달서구는 지난해 국토교통부로부터 '스마트도시 재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이는 대구·경북 기초단체 중 유일하다.
달서구는 결혼 장려 정책의 원조 도시로도 유명하다. 지금은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가 결혼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2016년 전국 최초로 결혼장려팀을 신설해 결혼 장려 정책을 시행한 곳이 달서구다. 이 청장은 "올해도 다양한 결혼 장려 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가정과 결혼의 가치를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인구가 52만명인 대구 달서구는 비수도권 중에서는 가장 큰 자치구다. 대구시 인구(236만명)의 22%가 거주하고 있는 만큼 달서구의 민생 경제가 살아나는 것이 지역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이 청장은 내수 진작 등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구청도 한 달에 한 번 있던 '외식의 날'을 이달부터는 주 1회 실시하기로 했다. 그는 "착한가격업소 지정을 확대해 인센티브를 다양화하고 지역 상품과 공공구매 제품 우선 구매 등을 적극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대구 우성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