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한시적 허용
전자여행허가제 한시 면제기간도 1년 늘려
메가이벤트 내년 상반기 전진 배치해
인바운드 살리기 총력 대응...1850만명 유치 목표
![경복궁을 둘러보고 있는 외국인 관광객. [사진=픽사베이]](https://pimg.mk.co.kr/news/cms/202412/26/news-p.v1.20241226.e436ee5654fd4b4eb8c6fb11524aa545_P1.jpg)
탄핵 사태 후폭풍이 덮친 국내 관광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중국 단체 관광객에 한해 한시적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특단의 카드까지 꺼내들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빅3’ 메가이벤트를 내년 상반기에 전진 배치하는 등 외래 관광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26일 ‘제9차 국가관광전략회의’를 열고 범정부 차원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 관광업계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국가관광전략회의는 관광기본법에 따라 국무총리를 의장으로 13개 부처 장관 등이 참여하는 범정부 관광정책 수립·조정 회의체다. 당초 탄핵사태 후폭풍으로 연기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관광 주요지표가 바닥을 치는 등 상황이 악화 일로를 걸으면서 예정대로 진행됐다.
한 대통령 권한대행은 “방한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이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관광시장이 안정되고 최대 성과를 끌어낼 수 있도록 정부가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년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를 1850만명을 잡고, 인바운드 목표 달성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에 한해 한시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중국 정부가 한국인 관광객에 한해 비자 면제정책을 내년 말까지 허용하면서 이에 대한 호혜적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다. 싸드 사태 이전 최고점을 찍었을 당시 유커 입국자 수가 900만명에 육박했던 점을 감안하면 1000만명 수준에 머물고 있는 입국자수를 단숨에 늘릴 수 있는 최적의 카드인 셈이다.
1차적으로는 크루즈 관광상륙허가제 시범사업을 통해 크루즈 선사가 모객한 중국인 단체관광객(3인 이상)의 무사증 입국을 허용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한시 면제 적용 국가·지역에 대한 전자여행허가제(K-ETA)의 한시 면제 기간을 내년 12월까지로 연장한다. 68개국에 대해 시행하고 있는 전자여행허가제 면제는 올해말로 종료된다. 비상 시국인 만큼 1년간 이 제도를 연장한다는 게 핵심이다. 특히 올해 말로 끝나는 중국·동남아 등 6개국 단체관광객에 대해서는 비자 발급 수수료 면제 기간도 내년말 까지로 1년 늘린다.
정부 차원의 관광 지원 가용자원도 내년 상반기 집중 투입한다. 연말 최대 쇼핑문화관광축제인 ‘코리아그랜드세일(2025년 1~2월)과 함께 한류 종합 행사인 ’비욘드 케이-페스타(25년 6월)와 K-뷰티 테마 ‘코리아뷰티페스티벌(25년 6~7월)’을 전진 배치하면서 내년 정부 관광 예산(약1조3000억원)의 70%를 상반기에 투입하겠다는 전략이다.
관광수지 개선을 위한 내수 활성화에도 공력을 쏟는다.
연중 2회 시행하는 ‘여행가는달’ 1회차를 종전 6월에서 3월로 앞당긴다.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대표관광지인 ‘한국관광 100선’ 여행을 확산하고, 코리아둘레길을 따라 인근 지역으로의 방문도 유인한다.
갑작스런 정국 불안에 사실상 개점 휴업중인 영세 관광업체를 위한 재정지원도 이어진다. ‘관광사업체 특화 3종 금융지원’으로 5365억 원 규모의 일반융자와 1000억 원 규모의 이차보전, 700억 원 규모의 신용보증부 대출을 내년 1월부터 지원한다.
이날 모두 발언에 나선 문화체육관광부 유인촌 장관은 “정국 불안에도 관광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관련 부처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점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익수 여행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