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25년 뒤 최고령국”
![대한민국이 주민등록 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어서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24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 앞이 식사를 기다리는 어르신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412/24/rcv.YNA.20241224.PYH2024122406760001300_P1.jpg)
2024년 12월 23일로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어서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2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는 23일 기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 5122만1286명의 20%를 돌파했다.
한국은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7년 만에 초고령사회의 문을 열게 됐다. 당초 2025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으나 저출생 문제와 맞물려 시기가 앞당겨졌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까지 도달한 연수를 비교하면 프랑스는 39년, 일본은 11년이 소요됐다. 미국은 2014년 고령사회에 진입했으나 활발한 이민 정책 등으로 초고령사회 진입은 2030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이달 초 발간한 ‘아시아·태평양 연금 현황 2024’ 보고서를 통해 “2024년 OECD에서 열 번째로 젊은 국가인 한국은 2049년에는 실제로 가장 고령화된 국가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유엔이 예상한 2050년보다 1년 앞서는 수치다.
보고서는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저출생 문제가 획기적으로 개선되지 않으면 노동 공급 감소에 따른 생산성 약화, 경제 성장률 하락 등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정년 연장 이슈, 연금개혁 등 초고령사회의 사회적 화두에 대한 국가적 논의도 시급해졌다. 외국인 노동자 유입 등을 위한 이민 확대 정책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청년 세대의 부양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금 지급 개시 연령 상향 논의 등도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보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선 만큼 인구전담부처 설치 등을 통해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