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해경, 밤샘 수색 작업에 총력…금성호 실종자 12명 찾는다

이상현 기자
입력 : 
2024-11-08 20:56: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135금성호 침몰 사고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이 야간에도 지속된다.

8일 제주해양경찰에 따르면 금성호 침몰 사고 실종자 12명을 찾기 위한 수색이 이날 오후 6시부터 9일 오전 6시까지 야간 내내 이어진다.

야간 수색에는 해경 23척, 해군 6척, 관공선 6척, 민간 어선 13척 등 함선 48척이 동원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8일 오전 제주 비양도 북서쪽 해상에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135금성호(129t)호가 침몰했다. 해경이 수중에 산재한 사고 어선 그물에서 수색을 벌이는 모습. [사진 출처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연합뉴스]
8일 오전 제주 비양도 북서쪽 해상에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135금성호(129t)호가 침몰했다. 해경이 수중에 산재한 사고 어선 그물에서 수색을 벌이는 모습. [사진 출처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연합뉴스]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135금성호 침몰 사고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이 야간에도 지속된다.

8일 제주해양경찰에 따르면 금성호 침몰 사고 실종자 12명을 찾기 위한 수색이 이날 오후 6시부터 9일 오전 6시까지 야간 내내 이어진다. 야간 수색에는 해경 23척, 해군 6척, 관공선 6척, 민간 어선 13척 등 함선 48척이 동원된다.

해경 항공기 2대와 공군 항공기 2대, 해군 항공기 1대 등도 투입된다. 항공기 총 5대는 조명탄 236발을 순차적으로 투하하며 밤새 수색을 진행할 계획이다.

8일 오전 제주 비양도 북서쪽 24㎞ 해상에서 침몰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금성호(129t) 실종 선원을 찾기 위해 해경이 수색을 벌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연합뉴스]
8일 오전 제주 비양도 북서쪽 24㎞ 해상에서 침몰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금성호(129t) 실종 선원을 찾기 위해 해경이 수색을 벌이고 있다. [사진 출처 = 제주지방해양경찰청, 연합뉴스]

현재까지 사고 해점 주변과 해수 유동 예측 결과를 고려한 구역 내에서 수색이 진행됐으나, 아직 실종자 발견 소식은 들리지 않고 있다.

낮 동안에는 함선 59척과 항공기 13대가 수색 작전에 투입됐다. 잠수 인원 27명이 두 차례 투입됐고, 수중 드론과 수중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도 각 1회 투입하는 등 수중 수색도 총 4회 이뤄졌다.

실종자가 해안으로 떠밀려왔을 가능성 등도 고려해 해경 15명, 경찰 116명과 드론 4대, 해병대 9여단 30명, 소방 31명 등 총 192명이 도보 또는 차량을 이용해 해안 수색도 벌였다.

앞서 이날 오전 4시 31분께 제주 비양도 북서쪽 약 22㎞ 해상에서 부산 선적 129t급 대형 선망 어선 135금성호가 침몰 중이라는 인근 어선의 신고가 해경에 접수됐다.

8일 오전 4시 33분께 제주 비양도 북서쪽 약 24㎞ 해상에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금성호(129t)가 침몰 중이라는 신고가 해경에 접수됐다. 승선원 가운데 인근 선박에 구조된 이들이 한림항에서 병원 이송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8일 오전 4시 33분께 제주 비양도 북서쪽 약 24㎞ 해상에서 부산 선적 선망 어선 금성호(129t)가 침몰 중이라는 신고가 해경에 접수됐다. 승선원 가운데 인근 선박에 구조된 이들이 한림항에서 병원 이송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승선원 27명(한국인 16, 인도네시아인 11) 중 15명은 인근 선박에 구조됐다. 그러나 이 중 한국인 2명은 숨졌다. 남은 12명(한국인 10, 인도네시아인 2)은 여전히 실종된 상태다.

사고 발생 후 15시간 이상이 경과한 가운데 해경은 사고 해역 수온이 22도인 점을 바탕으로 실종자 생존 골든타임을 24시간 정도로 보고 수색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금성호 선체는 최초 사고 해점에서 북동쪽으로 370m 떨어진 곳에서 침몰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해역 수심은 약 80∼90m다. 배가 완전히 침몰해 깊은 바닷속에 가라앉았고, 선체에 어망이 연결돼 있어 수중 수색과 인양에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