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토허제 무색’ 강남·용산 공시지가 5% 상승…최고-최저 차이 무려 2만6820배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4-30 10:49:5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개별공시지가가 올해 4.02% 상승하였으며, 특히 강남구와 용산구는 5%를 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시가 조사한 86만1300필지 중 98.8%에 해당하는 85만1037필지가 상승하였고, 최고가 지역은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으로 ㎡당 1억8050만원이다.

개별공시지가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이나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의 신청은 5월 29일까지 가능하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 공시지가 4.02%↑
2년 연속 상승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모습 [이상현 기자]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모습 [이상현 기자]

서울의 개별공시지가가 4.02% 올랐다. 특히 강남구와 용산구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도 5%가 넘는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시가 올해 1월 1일을 기준으로 조사한 86만1300필지의 개별공시지가를 30일 결정·공시했다.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된 개별 토지의 단위 면적당(㎡) 적정 가격을 말한다.

30일 시에 따르면 올해 개별공시지가 상승률은 4.02%다. 지난해 1.33% 상승에 이어 2년 연속 오름세다.

모든 자치구의 공시지가가 오른 가운데 평균 변동률(4.02%) 이상으로 상승한 곳은 강남구(5.47%), 용산구(5.21%), 성동구(4.82%), 서초구(4.81%), 송파구(4.05%) 5곳이다.

시는 올해 상향 결정된 표준지공시지가의 영향을 받아 개별공시지가도 일정 수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개별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결정한 ‘2025년도 표준지공시지가’를 바탕으로 개별 토지 특성을 조사하고 감정평가사 검증을 거쳐 정해진다.

개별지 86만1300필지 가운데 지가가 상승한 토지는 85만1037필지(98.8%)이고 하락한 토지는 5273필지(0.6%)에 그쳤다.

지난해와 공시지가가 같은 토지는 2618필지(0.3%)이며 신규토지는 2372필지(0.3%)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비싼 곳은 2004년부터 최고가를 이어온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으로 ㎡당 1억8050만원(2024년 ㎡당 1억7540만원)이다.

반면, 최저지가는 도봉구 도봉동 산30(자연림)으로 ㎡당 6730원을 기록했다. 최고가와 최저가 차이가 약 2만6820배에 달하는 셈이다.

한편, 개별공시지가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홈페이지나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의가 있으면 5월 29일까지 이의신청서를 작성해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로 온라인 제출하거나 해당 구청 또는 동주민센터에 우편·팩스 또는 방문 제출하면 된다.

이의신청 토지에 대해선 토지 특성 등의 재조사가 이뤄진다. 이후 감정평가사 검증과 자치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6월 26일 조정·공시될 예정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