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호가 너무 올렸나”…‘토허제 해제’ 집값 급등에 정부, 강남4구·마용성 집중 점검

조성신 기자
입력 : 
2025-03-06 09:48:49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서울 아파트값이 급등하면서 정부와 서울시가 부동산 시장 대응에 나섰다.

특히 강남 4구와 마포·용산·성동 지역의 거래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투기 세력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서울 지역의 이상 거래에 대한 기획조사를 실시해 불법행위를 엄중히 처벌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시·국토부 공동 대응
6월까지 주택이상거래 기획조사
부동산 [사진 = 연합뉴스]
부동산 [사진 = 연합뉴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는 집주인이 늘고 있다. 무섭게 치솟고 있는 서울 아파트값에 놀란 정부와 서울시가 대응에 나선다.

특히 뜀폭이 큰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지역 거래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향후 합동 현장 점검에도 나설 방침이다.

6일 주택·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서울시는 지난 5일 열린 ‘부동산 시장 및 공급 상황 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국지적 주택가격 상승 우려와 관련, 주택시장 상황과 가계부채 추이를 철저히 모니터링하기로 뜻을 함께했다.

또 계대출 관리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되, 심리 불안으로 인한 투기·교란 수요가 발생하지 않도록 선제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와 서울시가 부동산시장 상황 대응에 나선 것은 지난달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된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을 중심으로 치솟은 호가가 인근 지역으로 번지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마포·용산·성동 같은 강북 인기 주거지에 단기간 매수세가 몰리면서 호가가 치솟고, 아파트값 오름폭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서울시와 함께 투기 세력에 대한 시장교란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 특히 강남 4구, 마포·용산·성동구 지역 등 주요 지역 거래 동향을 모니터링하고 현장 합동점검을 한다.

아울러 집값 띄우기 목적의 허위신고와 자금조달계획서 허위 제출을 막기 위해 이달 10일부터 6월까지 서울지역 주택 이상거래에 대한 집중 기획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불법행위 정황이 확인되면 국세청·금융위·지방자치단체에 통보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