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올해 신축매입임대 4만가구 착공 내년부터 본격 입주 물량 나올듯

이희수 기자
입력 : 
2025-03-05 16:40:34
수정 : 
2025-03-07 16:46:4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신축 매입임대주택 4만가구를 착공하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해와 올해 2년 동안 신축 매입임대주택 11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겠다고 밝혔고, 이 중 수도권 물량은 88%인 3만3978가구에 이른다.

정부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서울 지역의 주택 이상 거래에 대한 집중 기획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2년간 11만가구 공급 목표
박상우 "토허제 해제 주시"
5일 오전 서울 은평구의 한 매입임대주택 건설 현장을 찾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앞줄 왼쪽)과 이한준 LH 사장(오른쪽).  국토부
5일 오전 서울 은평구의 한 매입임대주택 건설 현장을 찾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앞줄 왼쪽)과 이한준 LH 사장(오른쪽). 국토부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신축 매입임대주택 4만가구를 착공한다. 착공 후 1~2년 안에 입주할 수 있어 내년부터 본격적인 집들이가 이뤄질 예정이다.

5일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이한준 LH 사장은 서울 은평구 소재 한 신축 매입임대주택 건설 현장을 찾았다. 매입임대주택은 민간이 건설하는 신축 주택을 LH가 매입하겠다는 약정을 체결하고 실제 완공 후 LH가 사들여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유형이다.

국토부는 작년과 올해 2년간 신축 매입임대주택 11만가구(약정 기준) 이상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총 3만8531가구에 대해 매입 약정을 체결했으며 올해 해당 물량을 전부 착공할 계획이다. 이 중 수도권 물량은 3만3978가구(88%)다.

현재까지 실제 착공된 물량은 4000가구 안팎이다. 박 장관은 "올해 대부분 착공할 것"이라며 "착공되면 바로 또 분양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입주자 모집을 조기화해 수도권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취지다. 다만 실제 입주까진 2~3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날 박 장관이 건설 현장을 찾은 신축 매입임대주택은 2023년 9월 약정을 체결하고 작년 6월 착공했다. 입주 예정일은 내년 하반기다. 약정부터 입주까지 2년10개월이 걸리는 셈이다. LH는 약정 후 착공까지 걸리는 기간을 6개월 안팎으로 단축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장은 "조기 착공 지원팀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국토부, 기획재정부, 서울시 등은 이날 부동산 시장 점검회의를 열고 서울 강남권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후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는 것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박 장관은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며 "갭투자나 외지인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 상황을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토부와 서울시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와 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에 대한 거래 동향 모니터링과 합동 현장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6월까지 서울 지역 주택 이상 거래에 대한 집중 기획조사도 실시한다.

[이희수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