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전세사기 남의 일이라 장담 못해”…다세대 월세 고공행진이라는데

배윤경 기자
입력 : 
2025-01-29 22:31:4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국적인 전세사기 사건 이후 2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임대시장에서는 전세 공포의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빌라 월세가격은 23개월 연속 상승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아파트 전세가율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빌라 월세와 아파트 전세가격의 상승이 주거 약자의 거주 환경을 더욱 악화시켰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전국적인 전세사기 사건 이후 약 2년이 지났지만 임대시장에서는 여전히 전세 공포 여파가 남았다.

빌라 전세보단 월세를 선호하게 되면서 빌라 월세 가격은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고, 빌라 수요 일부는 아파트로 향해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도 뛰었다.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연립·다세대 월세가격지수는 104.93으로 2023년 2월부터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1월 이후 역대 최고치다. 전세에서 빠르게 월세로 선호도가 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여력 있는 빌라 세입자가 추가 대출을 받아서라도 아파트로 향하면서 아파트 전세 수요도 증가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7.87%로 지난 2021년 4월 이후 4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빌라 월세와 아파트 전세가격 모두 상승하면서 주거 약자의 거주 환경은 더 열악해졌을 수 있다”고 전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