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부동산

전세사기 여파에 무섭게 오르는 월세…서울 빌라 22개월째 상승

서진우 기자
입력 : 
2025-01-07 08:24:39
수정 : 
2025-01-07 09:37:17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의 빌라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하락하는 반면, 월세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전세 사기의 여파로 전세를 기피하는 수요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울 연립·다세대(빌라)의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으며, 오피스텔도 같은 기간 동안 월세가격지수가 11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비아파트의 공급이 줄어들고 전세 대신 월세 선호가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월세 상승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서울의 한 빌라 밀집 지역. 매경DB
서울의 한 빌라 밀집 지역. 매경DB

서울 빌라와 오피스텔 매매가격은 내려가고 있지만 월세는 계속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아파트 공급 물량이 많지 않은 데다 전세 사기 여파로 전세를 꺼림에 따라 이러한 현상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빌라)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연립·다세대 전세가격지수도 지난해 11월 96.51로 5월 이후 7개월 연속 올랐다. 특히 빌라 월세가격지수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1년간 2.3% 오르는 동안 전세가격지수는 0.6% 상승해 전세보다 월세 상승폭이 훨씬 컸다.

오피스텔 월세도 오름세다. 오피스텔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1.58로 1월(100.9)부터 11개월 연속 상승했다. 오피스텔 월세는 작년 1월부터 11월까지 1.58% 상승한 반면 전셋값은 오히려 0.2% 떨어졌다.

오피스텔의 경우 월세는 빠르게 오르지만 전세와 함께 매매가격은 하락 중이다.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지난달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전월 대비 0.09% 감소한 120.7을 기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오피스텔 매매가격 침체는 내년 상반기까지 이어질 수 있지만 임대수익용 오피스텔의 월세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세 사기 이후 불안한 전세 대신 월세로 돌아서는 수요가 늘어난 것도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세 사기 사태가 확산한 후 전세를 끼고 빌라를 신규 분양하는 형태가 어려워졌다. 이는 비아파트 공급 감소로 이어졌다. 실제로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입주 물량(준공)은 3만8138가구에 그쳐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7%나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입주는 36만577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1∼11월 전국 비아파트 인허가는 3만3583가구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9.6% 줄었고 착공은 3만1223가구로 21.6% 감소했다. 비아파트 공급 부족이 갈수록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올해도 빌라와 오피스텔을 중심으로 비아파트 전월세 오름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특히 전세 대신 월세 수요가 갈수록 높아져 월세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예금금리 인하로 임대인도 전세보다는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어 이러한 추세는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