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선도지구 준비 중에
인근 대곡역 1만가구 발표
창릉·장항·탄현 등 물량폭탄
"일자리는 없고 집만" 반발
인근 대곡역 1만가구 발표
창릉·장항·탄현 등 물량폭탄
"일자리는 없고 집만" 반발

12일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 따르면 2031년까지 고양에 주택이 7만가구 이상 쏟아질 예정이다. 고양에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됐거나 지정 예정인 곳이 많은 데다 일산 신도시 재건축이 한창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먼저 국토부는 지난 5일 고양 대곡역세권 199만㎡ 용지에 9400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2026년 상반기 공공주택지구(지구)로 지정하고 2029년 첫 분양, 2031년 첫 입주를 하는 것이 목표다. 내년 상반기에는 3기 신도시 중 하나인 고양창릉 지구에서 첫 번째 본청약이 이뤄진다.

고양장항과 고양탄현 지구도 한창 조성되고 있다. 고양장항 지구는 일산동구 장항동과 일산서구 대화동 일대 약 156만㎡ 용지에 1만1857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올해 3월에 고양장항 지구에 속한 2개 블록이 최초로 완공돼 2325가구가 입주를 완료했다. 2028년까지 나머지 블록도 공사를 끝낼 계획이다.
2020년 지정된 고양탄현 지구는 약 42만㎡ 용지에 2620가구를 짓는 게 골자다. 고양대곡·고양창릉·고양장항·고양탄현 지구 4곳에 새로 짓는 주택만 6만1950가구 규모인 셈이다. 1990년대 일산이 최초로 조성될 때 계획된 가구 수가 6만9000가구란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많은 물량이 공급되는 셈이다.
여기에 더해 일산에선 현재 재건축 선도지구를 뽑는 절차가 한창이다. 전체 노후 단지 47곳 중 강촌마을과 백마마을을 비롯한 총 22곳(3만가구)이 재건축을 가장 먼저 시작할 수 있는 선도지구 공모에 참여했다. 국토부와 고양시는 조만간 이 중 최소 6000가구에서 최대 9000가구를 선도지구로 뽑을 예정이다. 재건축을 진행하면 통상 가구 수가 늘게 된다.
일산 주민들은 재건축 사업성을 놓고 지자체와 갈등까지 빚고 있다. 고양시는 일산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계획에서 아파트 기준용적률을 300%로 설정했다. 분당(326%), 평촌·산본(330%), 중동(350%) 등 다른 1기 신도시보다 낮은 수치다.
주민들은 "지금 기준용적률로 재건축을 진행하면 가구당 3억원 이상의 추가 분담금이 발생해 감당할 수 없다"며 "최소한 분당 수준까지는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산 내 10여 개 구역 재건축추진준비위원장들은 집단행동까지 계획 중이다. 빌라 등 연립주택 쪽은 더 시끄럽다.
일산의 연립주택 재건축 기준용적률은 170%로 분당(250%)보다 훨씬 낮기 때문이다. 고양시가 허용용적률을 낮게 부여해 재건축 길이 막혔다고 주민들은 토로했다. 14개 단지로 구성된 '일산 빌라단지 재건축 비상대책위'는 지난달 일산동구청 앞에서 집회까지 열었다.
하지만 고양시는 용적률 추가 상향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고양시 관계자는 "상하수도 확충이나 도로, 교통 등 기반시설 문제로 인구 증가를 수용하기 어렵다"며 "현재 상태로는 추가적인 인구 유입이 한계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일산 집값은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고양시 일산서구 아파트값은 최근 한 달째 하락하고 있다. 11월 첫째주(4일 기준)엔 전주 대비 0.03% 떨어졌다. 일산동구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01% 오르는 데 그쳤다. 올여름 늘어나던 고양시 아파트 거래량도 9월 들어 다시 주춤한 상황이다. 고양시 9월 아파트 거래량은 2008건으로 전달(2405건)에 비해 줄었다. 거래량이 줄어든 건 올해 5월 이후 4개월 만이다.
[이희수 기자 / 손동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