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3기 수준 전기 생산…20조 원 민간 투자 예정
전남도, 해상풍력 30GW 보급·3만 개 일자리 창출
주민 소득 공유·기업 유치로 지역경제 활성화 기대

전라남도가 추진 중인 세계 2위,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사업이 정부로부터 본격적인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
전라남도는 22일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거쳐 3.2GW 규모의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로 지정됐다고 밝혔다.
3.2GW는 약 25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다.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해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집단 설치·운영할 수 있는 구역으로,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통해 사업 속도와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신안 해상풍력은 민간자본 20조 원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10개 단지에 총 3.2GW 설비용량이 조성될 예정이다. 이는 원전 3기에 해당하는 규모로, 단일단지 기준으로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크다.
전남도는 이번 집적화단지 지정을 계기로 여수·고흥을 중심으로 한 동부권 13GW, 영광·진도 등 서부권을 포함해 도 전역에 총 30GW 규모의 해상풍력을 보급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이를 통해 도민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달성, 기자재 산업 클러스터 조성,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수요 기업 유치까지 연계해 전남을 글로벌 에너지산업 중심지로 육성할 방침이다.
또한 전력계통 협의체를 구성해 송전선로 경과지 주민을 참여시켜 송·변전 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해상풍력 공급에 따라 확보되는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는 연간 약 2450억 원에 달해 주민과 수익을 공유하는 에너지 기본소득 모델 실현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전남도는 해상풍력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한다. 목포신항과 대불산단 일대를 중심으로 하부구조물, 타워, 해저케이블 등 기자재 산업을 집적화하고, 조선업과 연계한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인재들이 전남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할 방침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목포신항과 해남 화원산단에 관련 제조기업 100개 유치, 2500명의 전문인력 양성, 3만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며 “전남 전역에 해상풍력 30GW를 보급해 전남을 대한민국 에너지산업의 수도이자 아시아·태평양 해상풍력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