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올해 추가경정예산안에 광주시의 핵심 전략사업인 AI 2단계 사업(글로벌 AX 실증 밸리) 예산이 대폭 축소 반영되면서, 지역 AI 생태계 조성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7일 광주시에 따르면, 2025년도 정부 추경안에 광주시가 요청한 AI 2단계 사업 예산 670억 원 중 단 25억 원만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전체 추가 소요 예산 957억 원 중 올해 남은 2~4분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광주시는 특히 ‘AI 집적단지 기반 컴퓨팅 자원 지원’ 사업에 230억 원을 요구했다. 이 사업은 올해 5월부터 12월까지 8개월간 AI 데이터센터 내 기존 확보된 GPU(그래픽처리장치) 44.3PF 외에 미사용 GPU 34.3PF를 추가 임차해, 기업 및 연구기관에 AI 컴퓨팅 인프라를 지원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 사업에 대해 173억 원을 반영한 데 비해, 기획재정부는 해당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광주시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 4000억 원을 투입해 국가AI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집적단지를 조성해 왔으며, 이번 2단계 사업은 2029년까지 총 6000억 원 규모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이 가운데 국비는 3965억 원, 지방비 1385억 원, 민자 650억 원이 포함돼 있다.
이에 대해 기획재정부는 “1단계 사업이 종료돼 추경 반영 근거가 없고, 일부 특정 기업과의 관계로 특혜 시비가 우려된다”며, “GPU 관련 사업은 과기부 기존 사업과도 중복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강기정 광주시장은 정부의 입장을 정면 반박했다. 그는 “정부는 이번 추경을 ‘AI 추경’이라고 부르지만, 정작 국가AI데이터센터 예산은 빠졌다”면서, “새 GPU를 구매할 1조 원 예산은 포함되었지만, 기존 확보된 GPU를 실제 활용하기 위한 예산은 배제됐다. 결국 25억 원만 반영된 건 ‘광주 지역 사업’이라서 그렇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과기부가 동의하고 제안한 사업을 기재부가 억지 논리로 거부하고 있다”며, “그 논리대로라면 사천 우주항공사업, 거제 조선산업도 모두 ‘지역 사업’이냐”고 반문했다.
강 시장은 “국가가 조성하고 광주가 운영하는 국가AI데이터센터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예산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는 광주만의 사업이 아닌 대한민국의 AI 성장판을 여는 국가사업이다. 국회 및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예산 반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