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AI 인재 양성…병역특례도 확대
규제 합리화하고 AI로 기본사회 구현할 것
먹고 사는 문제와 일자리가 가장 중요해”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4일 퓨리오사AI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출처 = 이재명TV 유튜브]](https://pimg.mk.co.kr/news/cms/202504/14/news-p.v1.20250414.ad4a343702f3431b9c5614b1d913df1a_P1.png)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첫번째 공약으로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내세웠다.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첫걸음을 뗀 현장도 ‘K-엔비디아’라고 불리는 퓨리오사AI였다.
이 전 대표는 14일 페이스북을 통해 AI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이 전 대표는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며 “K-이니셔티브에 있어서 K-AI가 필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구체적으로는 AI 산업에 1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전 대표는 “정부가 민간투자 마중물이 돼 AI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할 것”이라며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 있게 강화해 본격적인 K-AI 시대를 다지겠다”고 설명했다. 차기 대통령이 되면 정부·산업계 협력을 직접 살펴보겠다는 다짐이다.
구체적인 AI 정책·공약으로는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 조성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개 이상 확보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실증 지원 △공공데이터 민간 개방 △글로벌 AI 공동 투자기금 조성을 내세웠다.
AI 인재 양성에도 앞장서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의대에 내몰리는 인재를 AI 산업으로 불러들이겠다는 것이다. 이 전 대표는 “국가가 AI 인재 양성을 책임지겠다”며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을 강화하고 지역벌 거점대학에 AI 단과대학을 설립해 석·박사급 전문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AI 인재 병역특례도 확대할 방침이다. 아울러 규제 합리화에도 나선다. 이 전 대표는 “온전히 기술 개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AI 규제를 합리화하겠다”며 “AI 산업 생태계 조성 관련법을 정비하고 특허법, 출입국관리법 등 규제 특례가 적용될 AI 특구도 과감하게 확대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AI 산업과 경제성장 결실은 온 국민과 함께 나누겠다는 비전도 밝혔다. 이 전 대표의 가치성장 담론을 여실히 드러낸 셈이다. 전 국민이 편히 쓸 수 있는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형 챗GPT를 온 국민이 무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본사회를 구현하겠다는 비전도 밝혔다. 이 전 대표는 “AI로 생산성은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워라밸(삶과 일의 균형)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금융·건강·식량·재난 리스크를 분석해 국민 삶을 지키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퓨리오사AI 간담회에서도 “최대 관심은 어떻게 하면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환경에서 더 나은 삶을 살게 할지”라며 “제일 중요한 것은 먹고사는 문제, 일자리 문제”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국가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통해 AI 사회에 대비해 나갈지를 살펴보겠다”며 퓨리오사AI 연구원들을 격려했다.
이 전 대표가 첫번째 공약·일정으로 AI 산업을 점찍으면서 관심을 받고 있다. 2017년 대선에선 국회에서 출마를 선언하고 곧바로 오리엔트정공 시계공장을 찾았던 바 있다. 오리엔트정공은 이 전 대표가 어렸을 때 소년공으로 일했던 일터다.
2021년에는 경기도지사로서 대선 경선에 나서며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했다. 현충원 참배를 시작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하며 영·호남 지역을 누비며 표밭을 다졌다. 지난 대선에선 노동자 정체성을 강조하거나 안정적인 대권 주자로서 면모를 보여주고자 현충원을 택한 셈이다.
이번 대선에서는 확실하게 성장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풀이된다. 강유정 이재명캠프 대변인은 “첫 공식 일정으로 성장경제 행보를 진행했다”며 “엔비디아 독점을 깰 한국산 기술력 현장을 직접 방문해 AI 산업ㅂ에서도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