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대선보다 당선자 확정 지연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대선 예비 후보자 등록이 시작된 가운데 6일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모습. [사진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4/07/news-p.v1.20250407.64e1252d5faf46708d48173f0698095f_P1.png)
정부가 8일 국무회의에서 오는 6월 3일을 조기 대선일로 지정할 것이 유력해지자 대권 잠룡들 행보도 덩달아 빨라지고 있다. 두 달이 채 안 되는 ‘단거리 경주’인 만큼 빡빡한 일정이 예고돼 있다. 초반부터 후보들의 전력 질주가 예상된다.
6월 3일이 대선일로 공식 지정되면 대선에 출마하려는 공직자는 선거일 30일 전인 5월 4일까지 사퇴해야 한다. 이후 5월 10~11일 이틀간 후보자 등록을 마치고 같은 달 12일부터 6월 2일까지 약 3주간 선거운동이 이뤄진다.

이어 5월 20일부터 25일까지 재외국민 투표, 5월 29일부터 30일까지 사전투표가 각각 진행된다. 대선 당일 투표는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14시간 동안 실시된다. 재보궐 선거 규정이 적용돼 투표 시간이 평소보다 2시간 늘어난다.
이 때문에 당선자 확정도 일반적인 대선보다 늦어질 것으로 보여 막판까지 손에 땀을 쥐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당선인은 당선 확정과 동시에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다. 별도의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구성되지 않는다. 2017년 5월 9일 대선을 치른 문재인 전 대통령도 인수위 없이 대선 다음 날 국회에서 취임식을 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7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에 치러지게 된 대선의 선거 비용이 5000억원에 육박한다며 국민의힘을 압박했다.
이날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2025년 대통령 보궐선거 비용을 추계해 달라’는 요청에 국회예산정책처가 4949억4200만원이 발생한다는 답변을 내놨다고 밝혔다.
박 원내대표가 공개한 예정처 자료에 따르면 올해 대선에는 △대통령선거 관리에 3258억400만원 △재외선거 관리에 189억2500만원 △선거보전금 994억2400만원 △정당보조금 507억8900만원 등이 각각 소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