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정치

“이렇게 대통령 파면하는게 맞냐”...대선 ‘다크호스’ 김문수의 성토

홍혜진 기자
입력 : 
2025-04-05 16:15:08
수정 : 
2025-04-05 16:27:1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대통령 직선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현재의 파면 과정이 민주주의에 부합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대통령을 파면하는 절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헌을 포함한 여러 방법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 발언은 김 장관의 대선 출마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곧 고용노동부 장관직에서 사퇴할 계획이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대선 출마 촉구 기자회견서 밝혀
“민주화 20년 성과가 대통령 직선제
국민이 뽑은 대통령 국회·헌재가 파면
민주주의인지 의문...세 번은 안 돼”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이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 시작 전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이야기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김문수 고용노동부장관이 지난달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 시작 전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이야기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보수 잠룡으로 꼽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해 5일 “국민들이 직선제로 뽑은 대통령을 국회와 헌법재판소에서 계속 파면하는게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맞는지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고 견해를 밝혔다.

김 장관은 세종미래전략포럼, 자유민주시민연합 등으로 구성된 시민사회단체연합이 연 김 장관 대선 출마 촉구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이 자리에서 “우리는 1972년 유신 반대부터 시작해서 1987년 5공화국이 끝날 때까지 무려 15년간에 걸쳐서 대한민국 민주 헌법을 위해서 노력했고, 민주헌법의 핵심은 바로 대통령 직접선거제”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그러면서 “체육관에서 몇명의 대표자들이 뽑는 대통령이 아니라 바로 모든 국민이 전원 투표해서 대통령을 뽑는 그런 직선제 개헌을 한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대통령 직선제를 위해 대한민국이 1970년대, 80년대 민주화 운동 20년간 정말 많은 희생을 하면서 싸워왔고 그 결과가 현행 헌법인데, 국회의원 200명 정도가 짜서 이렇게 대통령을 탄핵소추하고 헌법재판관들이 힘을 합쳐서 대통령을 파면하는 게 과연 민주주의가 맞느냐”며 “여기에 대해서는 우리가 꼭 생각을 해봐야 한다”고 했다.

김 장관은 “이런 부분을 고치는 방법으로는 개헌 등 여러 안이 거론된다”며 “고칠 것은 고쳐서, 국민들이 직접 뽑은 대통령을 몇명이 모여서 파면하는 일은 두번 했으면 됐지 세번까지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저는 아무런 욕심이 없다. 다만 이 나라가 이렇게 가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 장관의 발언은 대선 출마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장관은 조만간 고용노동부 장관직에서 사퇴하고, 국민의힘에 복당 신청을 할 전망이다.

#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