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운데)가 1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4/01/news-p.v1.20250401.c598a28385d74dad8332429e14186392_P1.jpg)
야당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 임명 등을 촉구하며 ‘국무위원 전원 탄핵’ 카드를 꺼내 들자 여당인 국민의힘 역시 더불어민주당을 향한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까지 확정되면서 여야의 대치가 더 극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죽창을 들고 재판하는 인민재판과 무엇이 다른가”라고 일갈했다. 권 원내대표의 발언은 최근 민주당이 연일 헌재에 윤 대통령 파면을 압박하는 것을 겨냥한 비판이다.
그는 또 전날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유혈사태’를 언급한 것과 관련, “파면 선고가 나지 않으면 불복투쟁에 나서라, 대대적인 소요사태를 일으키라고 사주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며 “민주당은 좌파 단체의 극렬투쟁을 조장하면서 헌재를 정치적으로 포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초선의원들은 국무위원 총탄핵을 선언하며 내란음모와 내란 선동을 시작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헌법재판을 인민재판으로 만들어버렸다”며 “민주당은 존재 자체가 국헌 문란”이라고 날을 세웠다.
앞서 전날에는 주진우 국민의힘 법률자문위원장이 실제로 이 대표와 민주당 초선의원 70명, 방송인 김어준씨 등 72명을 내란음모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는 일도 있었다. 마 후보자 임명을 촉구하며 국무위원 탄핵을 추진하겠다고 한 것이 ‘정부기능 마비 시도’라는 판단에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심리가 4월로 넘어온 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진보당 관계자들이 손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pimg.mk.co.kr/news/cms/202504/01/news-p.v1.20250401.860b8944108a492288361ac38b6a342b_P1.jpg)
주 의원은 “향후에도 정부나 헌법기관을 강제로 무력화하려는 불법적 정치 행위에 대해 국민의힘은 단호하고 엄정한 법적 조치를 계속 취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주 의원이 같은 날 곧바로 조국혁신당에 의해 무고죄로 고발되는 등 여야의 갈등은 더 첨예해졌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한동안 소극적 태도를 유지했던 국민의힘은 올해 1월 말께부터 대야(對野) 공세에 열을 올리고 있다. 보수 지지층을 중심으로 ‘대통령 탄핵 반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정당 지지율이 상승 곡선을 그린 까닭이다.
헌재의 선고를 목전에 둔 근래에는 국민의힘 지지율이 30%대에서 ‘박스권’에 갇혔단 분석도 있지만, 당은 친윤(親윤석열계) 지도부를 중심으로 내부 결속을 더 다지는 분위기다. 야권의 공세 수위가 덩달아 거세진 점도 여권의 전방위적 반격을 촉발하는 요인 중 하나로 풀이된다.
다만 윤 대통령 탄핵심판과 마 후보자 임명,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을 놓고 여야의 갈등이 장기화하면서 민생 현안이 소외되고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오는 4일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를 선고하면 정국 혼란이 더 심화할 수 있단 우려도 제기된다.